노인주거계획을 위한 노인가구의 고령기단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ge of Elderly of the Elderly Households for the Elderly Housing

  • 조성희 (부산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 전은정 (부산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발행 : 2009.10.25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and analysis the stage of elderly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ving environment of elderly in Korea. Taking into account the retirement age in Korea, those households with people over 60 years old were chosen for the investigation. For the study methods, an examination of documents centering on previous related studies and the analysis of references from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from which a general social situation can be clearly obtained, are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rom viewpoint of the stage of elderly, Parents and children of families mostly live together stage 1 and 2, mostly live separately at stage 3, the rate of living together increases stage 4 and 5. In over stage 4, there are some cases in which the Korean tradition of three generations living under one roof appears as well. The residing period at one place becomes longer as people grow older, which shows clearly the characteristic of 'ageing in place', therefore in order to continue to provide housing support to the elderl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lderly stage will have to be considered. In the life of the elderly, more and more hobby groups and meetings among the older population have been created, which means that elderly centered social activities will become more various, and facilities and community activated methods will have to be provided accordingly. Elderly people become less adaptable in new housing environments as they get older, therefore the housing has to accommodate their capability to adapt and the degree of aging. The stage of elderly can be used as a basic reference for a more effective solution when planning elderly housing in the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통계청 (2000, 2005, 2008), 고령자통계자료
  2. 고성룡(1990), 환경. 행태적 측면에서 고려한 공동주택거주노인의 주거환경계획에 관한 연구, 경상대 논문집, 29(1), 243-254
  3. 고성룡(1999), 노인을 위한 공동주택 주거환경계획 연구, 서울대 건축학과 박사논문
  4. 국토해양부(2008), 2007년 주거실태조사 연구보고서
  5. 김정석 (2007), 패널자료를 이용한 노년기 거주형태 변화분석, 한국인구학, 30(1), 1-24
  6. 김태일 (2000), 인구구조의 변동에 따른 고령자 주택형태의 변화와 수요예측에 관한 연구-1985년과 1995년 인구 .주택 총 조사자료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0(3), 37-50
  7. 박신영 (2008), 고령자 주거지원 방안, 한국주거학지, 1(5), 31-35
  8. 박신영. 지은영. 최은희. 한수진 (2006), 고령자의 주거선호 다양성과 정책적 함의,노인복지연구 겨울호 통권34호, 한국노인복지학회, 88-104
  9. 박충선(1998), 노년기의 생활시간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18(2), 30-46
  10. 배종근(2000), 高齢化社會에 對應한 老人住宅硏究, 조선대학교 건축공학과, 석사학위논문
  11. 사회통계국, 사회복지통계과(2007. 11)
  12. 송하승(2005), 고령화사회와 대응과제 2, 국토연구원, 20-31
  13. 오찬옥. 이연숙(1992), 노년기 주거욕구 파악을 위한 하위상황설정기준-배우자 유무 및 건강상태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12(2), 123-l37
  14. 이가옥. 권중돈(1989), 노인가구의 형태 및 특성에 관한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14, 113-135
  15. 이연숙. 박정아. 오찬옥(1994), 노인단독가구의 환경적 지원성 요구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학, 14(1), 84-94
  16. 이지숙(2005), 노인의 연령 및 주거유형별 주택내 각 실의 불편사항,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6(6), 47-54
  17. 정경희 (2002), 老人 의 居住形態 決定要因에 관한 硏究, 보건사회연구, 22(1), 102-127
  18. 정경희 (2005), 2004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정책보고서 2005-03)보건복지부
  19. 정경희, 이윤경, 이소정, 오영희, 손호발, 방효정, 유산현 (2005), 2008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실시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 조성희. 이태경 (2005), 예비노인의 노후상황별 주거환경선호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지, 16(4), 9-16
  21. 최정신 (1989), 老人住居에 關한 이론적 고찰, 성심여자대학교 학술저널, 21, 267-322
  22. 角田愛美. 竹田喜美子. 番場美惠子 .伊左消續(2002)ン儿バ一ステ一ジにおける家族構成の娈化: 在宅高齢者住宅にぉける 高齡者と家族の住生活に關るす硏究 の 3 , 日本建葉學術講演梗槪集, 5637, 241-242
  23. 番場美惠子. 竹田喜美子(2003), シルバ一ステ一ジからみた 高齢者の近憐交流に關する硏究:集合住宅団地GHにおけるヶーススタデイ,日本家政學會誌, 54(6), 491-499
  24. 番場美惠子. 角田愛美. 伊住消繪, 竹田喜美子(2003), 高齢期における 親子の居住關係と交流狀況;シルバ一ステ一ジからみる高齡期の居住ネシトワ一クに關する硏究 その1, 日本建葉學術講演種搬集, 5652,151-152
  25. 審場美惠子• 竹田喜美子(2005), 都市集合住宅居住の自立 高齡者のにおけるの'個' を中心とした住まい方の麥容過程:シルバ一ステ一ジからみた 高齡期の居住環境に關する硏究その1,日本建葉學會計畵系論文集, 592, 25-31
  26. 番場美惠子 · 竹田喜美子(2007), シルバ一ステ一ジによる 親子の居住關係と交流パタ一ンの変容過程:シルバ一ステ一ジからみた高齡期の居f主環境に關する硏究 その1,日本建葉學會計畵系論文集, 613, 2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