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임대주택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친환경사업의 타당성 분석 - 광주광역시를 대상으로 -

Feasibility Study on Environment-friendly Project to Improve Habitability in National Rental Apartment - focused on Gwangju City -

  • 박현구 (전남대학교 바이오하우징연구사업단) ;
  • 이현철 (전남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발행 : 2009.10.25

초록

In case of national rental apartment, habitability is generally evaluated low comparing with typical apartments. So, researches and investment are required to increas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is point of view, present study aims to suggest the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homeless masses' dwelling level through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Firstly national rental apartment, which habitability is considered to be low in the point of environment-friendly, welfare, and convenience, is chosen as objective. Secondly environment-friendly project items including project flow were set up, and then basic model was formed to evaluate economic feasibility through priority survey to residents. In result, priority for two items among six different proposals were higher than the others. This result could be useful when trying to increase the dwelling level of national rental apartment being planned to construct in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윤정 외 1인 (2001), 주택의 구매가치 평가요소와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 수립에의 활용방안,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7(6), 32-33
  2. 문선혜 (2005),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의식 비교분석인천광역시 거주자를 중심으로, 건국대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0
  3. 윤주현(1999), 새로운 주택보급률 산정과 주택정책의 전환, 국토연구원, 210(99'4), 82-86
  4. 이영주 외 I 인(1998),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주거선택행태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14(6), 48-56
  5. 이은영 외 2인 (2006), 공동주택의 환경친화적 리모델링에 대한 거주자 의식조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22(6), 31-38
  6. 이창무 외 4인 (2008),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U-Eco 주거단지 지불의사금액 추정,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논문집, 43(3), 239-239
  7. 장세옥(2008), 국민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에 관한연구-울산지역을 중심으로, 대구대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8
  8. 정금호(2002), 계충화분석법을 이용한주거선택의 중요도 결정방법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45
  9. 정유선 (2002), 환경친화형 주거단지의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3(5), 25
  10. 최윤아(2007), 공동주택 주거환경 요소의 중요도 가중치를 고려한 의사결정 지원 모텔 개발,홍익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50
  11. 최 윤(2007), 공동주택단지 외부공간 친화경 요소의 적용현황 및 개선점 연구,한국조경학회 논문집 ,35(3), 37-49
  12. 하정순 외 1 인 (2003), 주거가치에 따른 아파트 구매행동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논문집, 21(6), 98-100
  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1997), Green Town 개발사업 1
  14. 환경부(2003), 환경친화적 계획기법 및 운용방안 개발에 관한연구
  15. 조현길 (2008), 생태조경계획 및 설계,기문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