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자녀를 영어유치원에 보내는 어머니들의 경험에 대한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Mothers Sending Their Children to English Kindergarten

  • 이율이 (인하대학교 소비자아동학) ;
  • 양성은 (인하대학교 소비자아동학)
  • Yi, Yul-E (Consumer & Child Studies Major, Inha University) ;
  • Yang, Sung-Eun (Consumer & Child Studies Major, Inha University)
  • 발행 : 2009.10.31

초록

This research is exploratory in considering the unique socio-cultural context of South Korea, where the present government is responding to the demand for English language training. The study asked the question: What do mothers experience when sending their young children to a private English institute, so called English kindergarten, instead of a regular preschool? A qualitative approach was used to analyze the in-depth interviews with 19 mothers who sent their young child to an English kindergarten. Mothers stated that their young child needs to be a competent English speaker. The mothers expected that an English kindergarten would prepare their child better for the elementary school English curriculum than a regular preschool. The study revealed that English kindergartens symbolized the precedence and the privileges of the elite because of their high tuition fees, native-speaker teachers, and small class sizes. The mothers showed a sense of pride and vicarious satisfaction from sending their child to an English kindergarten. However, the mothers recognized that English kindergartens put more emphasis on cognitive learning instead of the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It was almost impossible for mothers to communicate with the native-speaker teachers about their child. The mothers seemed to overlook their child's struggle to adapt to an English Kindergarten. The findings of the study raise issues concerning the boom of teaching young children English in Korea.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보영. (2001). 영어몰입프로그램이 유아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순환. (2008). 유치원에서의 영어교육 현황과 담당교사의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13(5), 327-355.
  3. 김영진. (2000). 조기영어교육에서의 몰입프로그램에 관한 연구(유치원 몰입프로그램 진단과 EFL집단과의 학습효과 비교. 한국영어언어과학학회지, 5(1), 12-26.
  4. 마송희. (2003). 유아의 상위언어능력과 모국어 및 외국어 어휘력간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3(2), 267-289.
  5. 마송희. (2008). 유아교육기관 영어교육의 타당성과 바람직한 실천 방안. 열린유아교육연구, 13(4), 221-245.
  6. 박수진. (2001).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의 조기, 특기교육에 관한 실태분석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서현아, 최미현, 좌승화, 천희영. (2003). 취학전후 영어교육과 초등학교 3학년의 영어유창성의 관계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4), 299-319.
  8. 신의진. (2002). 조기교육과 발달병리적 문제-한국조기교육의 현황과 과제. 2002 한국아동학회춘계학술대회 발표집, 29-42.
  9. 안지영. (2003). 유아기자녀의 조기교육 실태와 어머니의 양육신념, 양육스트레스 및 성취 앞력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1(11), 95-111.
  10. 양옥승, 김진영, 김현희, 김연실. (2001). 한국사립유치원 영어교육의 실태. 아동학회지, 22(4), 299-313.
  11. 우남희. (2007). 유아의 영어교육 경험과 지능, 창의성과의 관계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4), 453-474.
  12. 우남희, 서유헌, 강영은. (2002). 영유아에 대한 조기영어교육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정책연구과제 2002-16.
  13. 윤유진. (2003). ESL과 EFL 학습프로그램과 아동의 영어능력.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윤유진. (2008). 영어몰입 프로그램, 영어능력과 문화정체성에 어떤 영향을 줄까? 파주: 한국학술정보.
  15. 이귀옥, 우남희. (2008). 부모변인과 유아의 영어 학습과의 관계연구. 생활과학연구, 13, 73-82.
  16. 장준희. (2006).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과 유아 언어 능력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차지인. (2003). 조기영어교육에 관한 부모의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통계청. (2008). 2007년 사업체 기초통계조사 잠정 결과.
  19. 팔년 만에 두 배로 - 사교육비 19조원 절반 차지. (2009, 3. 30). 조선일보, 자료검색일 2009.
  20. 하연희, 천희영. (2005). 유아의 영어교육 시작연령과 교육 기관에 따른 모국어와 사회성발달. 아동연구, 14, 35-53.
  21. 홍성심. (2006). 효과적인 영어교육을 위한 원어민 영어교사의 역할과 책임에 관한 연구. 현대영어영문학, 50(3), 134-164.
  22. 황혜신. (2002). 조기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한국아동학회 춘계학술대회자료집, 131-148.
  23. 황혜신. (2004). 조기영어교육이 유아의 이중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3(4), 497-506.
  24. Chamber, G. (1994). A snapshot in motivation at 10+, 13+ and 16+. Language Learning Journal. 9, 14-16. https://doi.org/10.1080/09571739485200061

피인용 문헌

  1. Equal access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outh Korea us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vol.25, pp.2, 2017, https://doi.org/10.1080/09669760.2017.1287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