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방문객의 애착유형이 테마파크에 대한 태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에버랜드 서비스 경험을 중심으로

Influence of Visitors Attachment Type to Attitude and Satisfaction for Theme Park -Based on Service Experience of EVERLAND-

  • 권순홍 (국제대학 방송계열) ;
  • 임양환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학부) ;
  • 이동욱 (부천대학 e-비즈니스과)
  • 발행 : 2009.11.30

초록

테마파크에서 방문객들은 관람과 참여를 동시에 하여 즐거움과 기쁨을 느낀다. 테마파크의 참여 특성으로 인해 방문객은 단순히 보는 수준에 그쳐서는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으며 참여와 관람에 의해 나타나는 감정의 영향을 받게된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대인관계 특성을 결정짓는 성격 특성으로 간주되어 온 글로벌 애착이 테마파크를 방문했을 때의 행동과 그 후의 지각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하여 테마파크를 방문한 경험이 있는 방문객의 애착유형이 태도와 만족에 영향을 주는 과정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소비자의 태도를 구성하는 세 개 차원인 인지, 감정, 행동의 욕의 관점에서 테마파크를 방문한 경험이 있는 방문객의 만족도와 행동의도를 높일 수 있는 요인들을 구조화하여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안정적 애착이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였고, 인적 서비스와 긍정적 감정이 중요하게 나타났다.

Visitors feel pleasure and delight with seeing and participation at the same time at theme park. Owing to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of theme park, visitors are not able to satisfy their desire only with simple seeing, and influenced by the sense caused by participation and seeing. The study herein presumed that global attachment regarded as characteristic features determining individual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influences behavior and perception of visitors after visiting theme park, and speculated the process which attachment type of visitors influences to satisfaction and attitude. Moreover, in a point of view of 3 factors which form consumer attitude, recognition, feeling, behavioral desire, factors which enhance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desire of visitors are organized and speculated. As a result of study herein, influence of stable attachment was not significant, while personal service and positive feeling shows importance.

키워드

참고문헌

  1. 박창규, 엄서호. "주제공원 방문자 만족의 결정경로와 요인; 에버랜드 방문지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26(3). 213-224쪽. 1998년 9월.
  2. 하광수, 한범수, "주제공원 방문자의 만족과 방문후 행통 의도의 결정요인: 에버랜드를 대상으로" 관광학연구 25(1). 329-347쪽. 2001년 3월.
  3. 한현숙, "이벤트프로그램이 테마파크 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연구" 이벤트컨벤션연구. 2(1). 125-145쪽.2006년 3월.
  4. McFniff. John. Leisure Industries. EIU Travel & Tourism. 5. pp. 52-73. March. 2006.
  5. 이혁진, 류재숙, "테마파크의 서비스스케이프가 이용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광저널 21(2). 5-18. 2007년 6월.
  6. 권유홍, 이훈, "주제공원 서비스 질이 방문자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26(1). 219-236쪽, 2002년 3월.
  7. 유명희, "테마파크 이용자 만족이 방문 및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창업정보학회지,8(4), 175-197쪽, 2005년 12월.
  8. Cronin, J. J. and S. A. Taylor, "Measuring Service Quality: A Reexamination and Extension," Journal of Marketing, 55-68, December, 1992.
  9. 한상겸, "대학생들의 여가시설이용 만족도에 관한 연구: 테마파크를 중심으로" 창업정보학회지. 8(4). 85-106쪽, 2005년 12월.
  10. Fishbein. M and I. Ajzen.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 Addison Wesley. February. 1975.
  11. 이학식, 안광호, 하영원, "소비자행동, 마케팅전략적접근 (제3판)." 법문사, 서울, 2001년.2월.
  12. Batra, Raieev and Douglas M. Stayman, "The Role f Mood in Advertising Effectivenes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 17. pp. 203-214. September, 1990. https://doi.org/10.1086/208550
  13. Howard. Daniel J. and Charles Gengler. "Emotional contagion Effects on Product Attitud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 28, pp. 189-201. September 2001. https://doi.org/10.1086/322897
  14. "Collins, N. L. and S. J. Read, "Adult attachment. working models, and relationships quality in dating couples." Journal of Psychology and Social Psychology, 58, pp. 644-663, March. 1990.
  15. Hazan, Cidny and Phillip R. Shaver, "Romantic Love Conceptualized as an Attachment Proc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3). pp. 511-524, September, 1987. https://doi.org/10.1037/0022-3514.52.3.511
  16. Pietromonaco. P. R., and Barrett, L. F., "Working models of attachment and daily social interac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 pp. 1409-1423, March. 1987.
  17. Thomson, Matthew, Deborah J. MacInnis, and C. Whan Park. "The Ties That Bind: Measuring the Strength of Consumers' Emotional Attachments to Brands,"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5(1). pp. 77-91. March, 2005. https://doi.org/10.1207/s15327663jcp1501_10
  18. Ball, A. Dwayne and Lori H. Tasaki. "The Role and Measurement of Attachment in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 (2), pp. 155-172. June. 1992. https://doi.org/10.1016/S1057-7408(08)80055-1
  19. Bartholomew, K and Horowitz, L. M., "Attachment styles among young adults; A test of a four-category mode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 pp. 226-244, March, 1991. https://doi.org/10.1037/0022-3514.61.2.226
  20. Cassidy, Jude, Steven Kirsh, Kirsta L. Scolton, and Rossn D. Parke, "Attachment and Representation of Peer Relationship," Development Psychology, 32(5), pp. 892-904, December, 1996. https://doi.org/10.1037/0012-1649.32.5.892
  21. Kane, Heidi S., Lisa M. Jaremka, AnaMarie C. Guichard, Maire B. Ford, Nancy L. Collins, and Brooke C. Feeney, "Feeling supported and feeling satisfied: How one partner's attachment style predicts the other partner's relationship experienc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4(4), pp. 535-555, December, 2007.
  22. 이주한,"테마파크 이용객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Joumal of Tourism System and Quality Management, 7(3/4), 157-178쪽, 2001년 12월.
  23. Graefe, A. and K. W. Hong, "Predicting event satisfaction by using SERVPERF and the circumplex model of affect,"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16(4). pp. 7-25, December, 2004.
  24. 황은, "성인기 애착측정의 배우자 애착측정활용에서의 문제점에 대한 고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1). 13-24 쪽,2003년 3월.
  25. 김기탁, 강준호, "프로축구 관람자의 소비감정, 관람만족이 재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17(3), 126-135쪽,2006년 9월
  26. 김두하, "주제공원 이용자 만족의 결정인지에 관한 연구: 에버랜드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6(3), 189-198쪽, 1998년 9월.
  27. 배병렬, "구조방정식 모델 이해와 활용" 서울, 대경,2002년 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