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유수경, 초등학생의 부모애착과 컴퓨터 게임중독,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I. Goldberg, Internet Addiction, Electronic Message Posted to Research Discussion List. http://www.cmhc.com, 1996.
- 김양은.박상호, "온라인게임 이용이 게임 몰입 및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1권, 제1호, pp.355-377, 2007.
- 내일신문, 2009년 4월 22일자
- 한겨레, 2009년 9월 26일자
- 국민일보, 2009년 6월 25일자
- 장해순, 한주리, 강태완, "말하기, 듣기 스타일과 갈등관리유형간의 관계", 한국방송학보, 제21권, 제1호, pp.276-310, 2007.
- A. B. Frymier, "Students' Classroom Communication Effectiveness," Communication Quarterly, Vol.53, pp.197-212, 2005. https://doi.org/10.1080/01463370500089896
- S. A. Meyers and T. A. Avtgis, "The Association of Socio-Communicative Style and Relational Type on Perceptions of Nonverbal Immediacy," Communication Research Reports, Vol.14, pp.339-349, 1997. https://doi.org/10.1080/08824099709388677
- C. Webster, "Service Providers' Communication Style and Customer Satisfaction," The Business Review, Vol.3, No.2, pp.291- 297, 2005.
- V. Satir, People Making, Science and Behavior, 1972. 성문선 역, 사람 만들기, 홍익제, 2004.
- T. J. D'Zurilla and A. M. Nezu, "Development and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 Social Problem-Solving Inventory Psychological Assessment," Journal of Counsel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2, pp.156-163, 1990.
- 유상미, 이승연, "대학생의 스트레스, 부적응적 완벽주의, 자살사고의 관계: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애착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제5권, 제2호, pp.119-136, 2008.
- 김희숙, "정서조절양식,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 및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상명대 학생생활연구, pp.176-200, 2006.
- 김은주, 김민규, 김주환, "학업효능감과 의사소통 불안이 사회적 실재감과 삶의 만족도를 매개로 중학생들의 온라인 게임 중독성향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제21권, 제1호, pp.209-231, 2007.
- 김동욱, 인터넷 이용충족, 플로우 및 개인적 성향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 조일주,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휴대폰 중독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9권, 제1호, pp.185-204, 2009.
- 송원영, 오경자,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력이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상심리학회 '99년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 1999.
- 권재환, 심리적, 환경적 변인과 인터넷 게임 중독간의 관계: 대인관계 기술의 매개효과 검증,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K. S. Young. Caught in the Net: How to Recognize the Signs of Internet Addiction and a Winning Strategy for Recovery. John Wiley & Sons, 1998.
- 이형초, 인터넷 게임 중독의 진단척도 개발과 인지행동치료 효과.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 이형초, 안창일, "인터넷게임 중독의 진단척도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7권, 제2호, pp.211-239, 2002.
- 김정효, 박성혜, "컴퓨터 게임 몰입과 정서적 특성의 관계: 서울시내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을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 제32집, 제2호, pp.119-139, 2001.
- 최나야, 한유진, "충동성, 부모와의 의사소통 및 인터넷 게임에 대한 기대가 아동, 청소년의 게임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4권, 제2호, pp.209-219, 2006.
- 방희정, 조아미, "가족기능과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행동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16권, 제1호, pp.1-22, 2003.
- R. Norton, "Foundation of a Communication Style Construct,"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4, pp.99-112, 1978. https://doi.org/10.1111/j.1468-2958.1978.tb00600.x
- V. Satir, J. Banmen, J. Gerber, and M. Gomori, The Satir Model, Science and Behavior, 1983. 한국버지니아사티어연구회 역, 사티어 모델: 가족치료의 지평을 넘어서, 김영애가족치료연구소, 2000.
- 김영애, 의사소통방법론, 김영애가족치료연구소, 2008.
- S. Y. Lee and J. R. Kwon, "Impulsivity, Social-Solving Abilities, and Communication Style of Adolescent Internet Game Addict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0, No.1, 67-80, 2001.
- A. Maydeu-Olivares and T. J. D'Zurilla, "A Fator-Analytic Study of the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 An Integration of Theory and Data,"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20, pp.115-133, 1996. https://doi.org/10.1007/BF02228030
- 최이순, "사회적 문제 해결 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1권, 제2호, pp.413-428, 2002.
- 조춘범, 송아영, 이순호,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관한 연구: 우울의 매개효과와 문제해결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16권, pp.73-103, 2007.
- 이상순, 심리경향에 따른 의사소통유형 분석: Jung과 Satir의 이론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 강성희, 김정택, "MBTI를 활용한 Satir집단프로그램이 부모의 자아존중감과 의사소통유형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유형학회지, 제14권, pp.53-67, 2007.
Cited by
-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on Youth's Sociality Development vol.13, pp.4,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4.208
-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ocial Anxiety in Nursing Students vol.14, pp.7,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7.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