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FID Code System for Traceability of Medical Herb

한약재 이력 정보 추적을 위한 RFID 코드체계

  • 김철 (한국한의학연구원 정보연구센터) ;
  • 김상균 (한국한의학연구원 정보연구센터) ;
  • 김진현 (한국한의학연구원 정보연구센터) ;
  • 송미영 (한국한의학연구원 정보연구센터)
  • Published : 2009.12.15

Abstract

The tracing system means that the system can follows, traces, and records every steps of production and delivery of goods and its ingredient. Specially, Koreans have big concern about food tracing system which is influential for health directly. We were more interested in medical herb using in oriental medicine than any other things. We proposed the process and design of tracing system for medical herb based 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in this research. This study shows current medical herb tracing ways and RFID code system by using for world standard. Firstly, We designed the new process of traceability of medical herb with various preceding references based on RFID technology. Secondly we suggest that RFID code configuration using the international standard code(ISO code) and korean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code for the proposed process. RFID code system is very important because this plays a means of identification for tracing about medical herb. The proposed code system have the elements as Issuing Agency Code, Issuer Number, inspection information, inheritance flag, area code, modified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code, serial number in 96 Bit length. Lastly We defined the code-generation process in the tracing system.

이력추적관리시스템은 상품의 생산과 유통의 모든 단계에서 추적 조사 기록이 가능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국내에서는 건강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식품의 이력추적에 대한 관심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의학분야에서 사용되어지는 한약재를 대상으로 RFID 기술을 적용하여 이력추적관리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세계적인 표준으로 채택되고 있는 RFID 코드체계 구성과 한약재의 이력관리 프로세스,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한약재 이력관리시스템을 분석하였다. 우선적으로 RFID 기술에 적합한 새로운 한약재 이력추적관리 프로세스를 설계하였으며, 이 프로세스에 적합하도록 ISO 표준과 국내의 농수산물 표준코드를 활용하여 한약재 이력정보 추적을 위한 RFID 코드체계를 제안한다. 코드체계 설계는 한약재의 추적에 있어 식별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기에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제안된 코드체계는 96비트 길이 내에서 국가구분, 관리기관, 구분자, 식별번호, 일련번호로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이력추적시스템 내에서 코드발급프로세스를 정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EPCgIobaI, "EPCTM Tag Data Standards Version 1.27," May, 2005
  2. ISO/IEC15459-3, “Information technology - Unique identifiers - Part 3: Common rules for unique identifiers,” Dec. 2005
  3. KREI, “The circulation of herb,” Feb. 2003 (in Korean)
  4. http://www.htrace.or.kr
  5. C. Kim, H. Kim, "A Study of Modelling for trace-ability of Korean Herb using RFID Technology," Proc. of the 2008 Korea Association of Herbology Fall Conference, pp.51-61, 2008 (in Korean)
  6. MIC code system studying forum, “RFID/USN code system study,” Dec. 2004 (in Korean)
  7. http://www.affis.net
  8. C. Kim, M. Song, “A study of plan for traceability of a Korean herb using RFID technology,” Korea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vol.12, no.3, pp.31-47, 2006 (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