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urvey on the Perception and Usage Status of Dietitians in Food Service Business for Meat Products

단체급식소 영양사의 육가공품에 대한 인식 및 이용실태 조사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usage status for meat products of dietitians in the food service business in Seoul and Gangwon province. 32.8% of dietitians decided the menu reflecting the taste of students. Most of the dietitians (89.2%) checked the manufacture date of the processed meat products when they were supplied. To address the question as to whether they could distinguish the difference among ham, pressed ham, and sausage, most of them answered; 'can distinguish a little' (47.5%) or 'can't distinguish' (36.7%). The most frequently provided processed meat products were ham (33.9%), followed by sausage (21.7%). However, it is assumed that the dietitians might have mistaken the pressed ham for the classic ham. The most common frequency of the serving processed meat product in the food services was once a month (41.6%). Most desired aspect of quality improvement for the processed meat products was answered as 'hygiene/safety' (31.5%), and followed by 'higher quality' (26%). In conclusion, the improvement of the product quality and the strengthening of public information would be prerequisites for expanding the use of processed meat products in the food services and business-to-business (B2B) market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서울과 강원지역의 단체급식소 영양사 305명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 결과를 기초로 국내 육가공품에 대한 인식 및 이용실태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단체급식소 영양사는 육가공품에 대한 품질수준(Likert 5점 척도, 평균 3.4점, 표준편차 0.6), 선호도($3.1{\pm}0.7$), 식단반영률 79.6%와 고품질화(개선 요구도 26%)는 높은 수준의 긍정적인 인식도를 보였다. 그러나 육가공품 섭취 시 영양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성($2.9{\pm}0.8$), 위생 안전성(개선 요구도 31.5%)은 낮은 수준의 부정적인 인식도를 보였다. 특히 영양사의 선호도($3.1{\pm}0.7$)는 육가공품의 사용빈도, 영향범위, 근무경력, 결혼여부, 품질수준과 연령 등과 각각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영양사의 선호도는 육가공품의 구매 및 소비확대를 위한 육가공품 식단반영(식단반영율 79.6%)에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영양사는 육가공품의 선택과 구매 결정권(86.9%)을 가지고 있으며, 식단 작성 시 학생 기호도(32.8%), 육함량(21.9%)과 조리 편리성(19.5%)을 고려하고, 검수 시 가장 유의하는 것은 제조일자(89.2%)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햄, 프레스햄과 소시지의 차이점에 대해 '약간 알고 있다' 47.5%, '전혀 모른다' 36.7%, '거의 알고 있다' 11.8%, '확실히 알고 있다' 3.9%로 응답하였다. 단체급식에 이용되는 육가공품은 햄(33.9%), 소시지(21.7%)로 볶음(34.5%), 국(18.6%)요리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단체급식에서 육가공품은 월 1회(41.6%), 주 1회(36.4%) 제공되며 식단 제공자인 영양사가 판단하는 피급식자의 만족도는 '만족'(67.9%), '보통'(22.3%)으로 응답하였다. 또한 국내 육가공품의 위생안전성 수준에 대하여 '보통'(60.9%), '우수'(29.8%)로 응답하였고, '나쁘다'(9.2%)는 이유로는 '본인 전공 판단'(62.7%), '언론보도'(17.1%), '첨가물 과다' (14.2%)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육가공품을 섭취 시 영양과 건강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는 '보통'(50.8%), '해가 된다'(24.9%), 품질수준에 대해서는 '보통'(54.1%), '우수'(39.7%)로 응답하였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육가공품의 가격 수준은 '비싸다'(53.8%), '적당하다'(41.6%)로 응답하여 비싸다는 인식이 높으나, 고품질제품은 '10-20%가 비싸져도 구매 하겠다'가 93.1%로 영양사의 고품질제품에 대한 높은 욕구를 알 수 있었다. 영양사의 육가공품에 대한 품질 개선점은 위생 안전성(31.5%), 고품질화(26%) 및 성분표기의 정확성(17.8%) 순으로 제안되었다. 이는 육가공품의 조리 편리성 보다는 위생안전성과 고품질화를 중요시 한다는 것을 응답 결과로 알 수 있다. 특히 영양사의 선호도와 인식도는 육가공품의 구매 및 소비확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통계분석 결과로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앞으로 단체급식소와 B2B시장의 확대를 위해서는 위생안전성과 건강뿐 아니라 영양과 기능성을 고려하여 품질수준을 높이고 이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는 것이 최선일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Cho, S. H., Park, B. Y., Chin, K. B., Yoo, Y. M., Chae, H. S., Ahn, J. N., Lee, J. M., and Yun, S. G. (2003) Consumer perception, purchase behavior and demand on ham and sausage products. J. Anim. Sci & Technol. (Kor.) 43, 273-282 https://doi.org/10.5187/JAST.2003.45.2.273
  2. Han, M. Y. and Ahn, M. S. (1998) A Study on the purchase action of processed foods and the recognition for food additives of urban housewives. Korean J. Dietary Culture 13, 119-126
  3. Jung, Y. K. (2005) A Study on purchase patterns and recognition of processed foods of school meal service dietitians.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ac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honju, Korea
  4. KDA (Korean Dietetic Association) (2008) Introduction to KDA. http://www.dietitian.or.kr
  5. Lee, K. T., Kang, J. O., Kim, C. J., Lee, M. H., Lee, S. K., Lee, J. Y., Lee, J. W., Cho, S. H., Joo, S. T., Chin, K. B., and Choi, S. H. (2005a) Studies on the regulation for use, metabolism, intake, and safety of sodium nitrite in meat product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5, 103-120
  6. Lee, Y. S., Lee, D. S., and Lyu, E. S. (2005b) Dietitians' Perception and Usage of Processed Meat Products -Kyungnam A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813-822
  7. Moon, Y. D. (1995) Consumption status and prospect of meat products. Proceed. of spring symposium of Korean Society of Food and Cookery Science. Seoul, Korea, pp. 180-191
  8. NVRQS (National Veterinary Research and Quarantine Service) (2007) Processing standard and compositional specification. pp. 43-48
  9. SAS (2003) SAS/STAT Software for PC package. Release 9.1,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10. Son, S. M. and Lee, K. S. (1997) Attitude of dietitians working for elementary schools on meat products. Korean J. Dietetic Assoc. 3, 30-43
  11. SPSS (2003) SPSS for windows. Release 12.0, SPSS Inc., Chicago, USA.
  12. Yoon, M. H., Chang, K. M., and Choe, I. S. (2001) Consumption pattern of meat products in Korea.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1, 18-23
  13. 문영덕 (2008) 육가공 산업의 실태와 발전 방향. 육가공산업에 대한 연구 보고서, 농협, pp. 8-146
  14. 식품의약품안전청 (2006) 식품의약품 통계연보 8호. 식품유통연감, http://www. kfda.go.kr
  15. 식품의약품안전청 (2007) 식품의약품 통계연보 9호. 집단 급식소 현황 통계자료. http://www. kfda.go.kr
  16. 이근택 (2008) 한국 육가공품 생산기술의 평가와 발전과제. '한국 육가공산업의 특성과 발전과제'에 대한 한국육가공산업 전문가 세미나 및 토론회 발표자료집, pp. 43-58
  17. 정승희 (2008) 국내 육가공품의 규격기준 개선을 통한 육가공산업 활성화 방안. '한국 육가공산업의 특성과 발전과제'에 대한 한국육가공산업 전문가 세미나 및 토론회발표자료집, pp. 61-88
  18. 한국육가공협회 (2007) 식육가공품생산 및 판매현황. 육가공 겨울호, pp. 83

Cited by

  1. Application of Microbial Transglutaminase and Functional Ingredients for the Healthier Low-Fat/Salt Meat Products: A Review vol.30, pp.6, 2010, https://doi.org/10.5851/kosfa.2010.30.6.886
  2. Effect of Transglutaminase, Acorn, and Mungbean Powder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fat/salt Pork Model Sausages vol.29, pp.3, 2009, https://doi.org/10.5851/kosfa.2009.29.3.374
  3. Influence of the Healthy Image of Meat and Animal Products on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vol.27, pp.1, 2012, https://doi.org/10.7318/KJFC.2012.27.1.001
  4. Perception of Youku (Domestically Produced Holstein Steer) Meat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ood and Nutrition Studies vol.21, pp.3, 2015, https://doi.org/10.14373/JKDA.2015.21.3.203
  5. 단체급식소 쇠고기 이용 실태 및 영양사의 쇠고기 품질에 대한 인식 vol.23, pp.2, 2009, https://doi.org/10.14373/jkda.2017.23.2.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