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체육교과 진화에 관한 생태학적 조망

Ecological Viewpoint of Evolution in Physical Education

  • 발행 : 2009.02.28

초록

본 연구는 체육교과 진화에 관해 생태학적으로 조망해 보고 논의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7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을 통해서 의미를 모색해보았다. 교육과정을 토대로 체육교과의 진화를 조망한 이유는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는 체육교육의 목표, 가치, 체육교육의 철학적 배경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해 타나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교사에 대한 역할 강화를 위한 적극적 지원이 강조되어야 한다. 둘째, 체육교과에서 전술이 강조되어야 한다. 셋째, 운동을 단순히 기능 혹은 운동신경수준이 아닌 가드너가 제시한 지능으로 해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체육교과의 정상화를 위해서는 현재 고등학교 2, 3학년에서 체육교과 필수 지정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purports to review and discuss the evolution of Physical Education in terms of ecological viewpoint.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try to look for the meanings through the 2007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reason that I look for the meanings from the curriculum is because the curriculum includes objectives, values and philosophical backgrounds in Physical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I found the following results. Governmental active supports to reinforce roles of in-service teachers should be emphasized. Second, teacher should focus on Game strategies for Physical Education. Third, mental function for activities in Physical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an intelligence as one of H. Gardner's multiple intelligences rather than they are just accepted as the level of functions or a motor nerves. Fourth, Physical Education for 11 and 12 grades should be accepted as a requirement to mainta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high school as a normalization proces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신복, "체육과 교육과정의 국제 동향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 및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공동주최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pp.1-22, 2005.
  2. http://www.nest.go.kr
  3. http://www.korean.go.kr
  4. 김명수,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목표 및 내용체계정립 방안",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2005.
  5. 김미숙, "새로운 체육과 교육과정의 분석연구",한국체육철학회지, Vol.16, No.2, pp.39-54, 2008.
  6. 김대진, "중등체육교사양성 교육과정 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5, No.1, pp.21-37, 2008.
  7. 류태호, "제7차 체육과 교육과정 적용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교과교육공동연구학술세미나 발표집,한국교원대학교 부설교과교육공동연구소, pp.625-636, 2002.
  8. 류태호, "학원스포츠의 과제와 전망",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2, No.2, pp.91-108, 2005.
  9. 박이문, "문명의 위기와 문화의 전화", 서울:당대, 1996.
  10. 박인기, "교과의 생태학, 그리고 교과의 진화",경인교육대학교 미간행 학술 자료집, 2008.
  11. 박재정, "초등 체육 교과서 내용 분석과 새 교육과정에서의 체육 교과서 개발 방향", 초등교과교육연구, 8, pp.47-70, 2008.
  12. 서지영, 유정애, 김현정, "체육과 교유목표 및 내용 체계연구(I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3-7, 2003.
  13. 안양옥, "통합적 재검토를 통한 초등체육과 교육과정의 발전 방향 모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1, No.2, pp.1-23, 2004.
  14. 안양옥, "신체활동 가치중심 체육교육과정에 대한 소고", 우리체육, 창간호 자료집, 2008.
  15. 유정애, "체육과 교육과정 운영실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4-3, 2004.
  16. 유정애, 서지영, 조미혜, 최의창, "체육과 교육과정 실태 분석 및 개선 방향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자료, CRC 2004-4-9, 2004.
  17. 유정애, "체육과 교육과정 총론", 서울:대한미디어, 2007.
  18. 장연자, "미술교육의 생태학적 접근 방향", 미술교육논총, Vol.20, No.2, pp.87-112, 2006.
  19. 장용규, 김홍식, "기능 중심 스포츠 교육의 한계와 대안 모색", 체육연구소논집, Vol.19, No.1, 1998.
  20. 조미혜, 김윤희, 서지영,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체육교육과정 변천의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4, No.1, pp.1-16, 1997.
  21. 허경철, "차기 초.중등 교육과정의 제고를 위한 새로운 접근-사이언스맨 혹은 르네상스 맨", 2004 한국 스포츠교육학회 춘계세미나 자료집, pp.15-33, 2005.
  22. D. R. Anedrson, "The Humanity of movement or it's not just a gym class," Quest, 54, pp.87-96, 2002. https://doi.org/10.1080/00336297.2002.10491768
  23. C. Corbin, "Physical activity for everyone: what every physical educator should know about promoting lifelong physical activity,"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21, pp.128-144, 2002. https://doi.org/10.1123/jtpe.21.2.128
  24. W. Carr and S. Kemmis, "Becoming Critical : Education, Knowledge and Action Research," Geelong:Deakin University Press, 1986.
  25. D. Hellison, "Teaching responsibility through physical activity," Champaign, IL:Human Kinetics,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