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Impact of Motion Recognition Sensor on Mobile Game by Compare Valuation Experiment

비교평가 실험으로 동작인식센서가 모바일게임에 미치는 영향분석

  • Published : 2009.10.20

Abstract

I-phone presented a new mobile control type by the introducing motion recognition sensor and that influenced on game application development so that led a lot of games using kinds of sensors. In this paper, we divided the game enjoyment into 5 factors for the embodiment of the sensor's influence direction on the enjoyment. We experimented two game, which have same content, different devices in using motion recognition sensor or not for clarifying the distinction between devices. As a experiment source game, we used Cooking Mama, as a experimental device, we used I-pod touch and NDS. This experiment shows a motion recognition sensor control's enjoyment is far superior to touch sensor. This sensor got high marks on every fun factors, stimulus, absorption, empathy, accomplishment and variation. Especially, stimulus and empathy showed great differences. In this case, we found the fact that extended communication between the gamer and the device can be fun.

아이폰은 동작인식센서를 도입하여 새로운 모바일 조작형태를 제시하였고, 이는 게임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영향을 미쳐 다양한 센서가 적용된 게임이 수 없이 나타나게 된 원인이 되었다. 이를 이용한 게임의 진행이 전체적인 재미에 어떤 방향으로 영향을 끼치는지 구체화하기 위해 본 논문은 재미를 5요소로 구분하였고, 각 요소를 한 게임을 동작인식센서와 터치센서의 조작방식으로 각각 실험하여 요소의 정도차이를 유도, 추출하였다. 본 실험에는 게임으로는 '쿠킹마마', 기기로는 아이팟 터치와 NDS를 이용하였다. 분석 내용을 보면 동작인식을 통한 조작에 대한 즐거움이 압도적으로 나타났다. 각 5개 요소, 즉 자극, 몰입, 감정이입, 성취, 변화와 확장의 요소 모두에서 동작인식센서가 높은 점수를 얻었고, 특히 자극과 감정이입부분에서 많은 차이를 보였다. 이에 자신과 디바이스와의 확장된 소통형태에서 즐거움을 얻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apple.com/pr/library/2009/07/14apps.html
  2. 김미진, 윤진홍,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 분석을 통한 모바일 게임 인터페이스 구현", 디자인학 연구 통권 제81호, Vol. 22, No. 1, 한국 디자인학회, pp.243, 2009.
  3. 도널드 노먼, 이창우 외 역, 디자인과 인간심리, 학지사, pp24, 1996.
  4. 용대순, "재미요소를 고려한 게임 디자인론에 관한 연구", 게임산업저널, 2003.
  5. 라프코스터, 안소현 역, 라프코스터의 재미이론, 디지털미디어리서치, 2005.
  6. Novak, T. P., Hoffman, D. L., & Yung, Y. F. "Measuring the customer experience inonline environments: A structural modeling approach" Marketing Science, pp22-42. 2000.
  7. 이지희, "E-branding 관점에서 본 감정이입 가상 캐릭터의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디자인학연구 통권 제57호, Vol.17, No.3, pp83, 2004.
  8. 치크센트미하이, 몰입의 즐거움, 해냄출판사, 1999.
  9. 함형범, 이양선, 안창호, "게임개발 전략 수립을 위한 게임만족도 평가시스템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제7권, 제11호, pp1630-1638,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