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Design of Context-Aware Middleware based on Web Services in Ubiquitous Environment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웹 서비스에 기반한 상황 인식 미들웨어의 설계

  • 송영록 (인하대 정보전자공동연구소) ;
  • 우요섭 (인천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 Published : 2009.10.30

Abstract

Context-aware technologies for ubiquitous computing are necessary to study the representation of gathered context-information appropriately, the understanding of user's intention using context-information, and the offer of pertinent services for user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WS-CAM(Web Services based Context-Aware Middleware) framework for context-aware computing. WS-CAM provides ample power of expression and inference mechanisms to various context-information using an ontology-based context model. We also consider that WS-CAM is the middleware-independent structure to adopt web services with characteristic of loosely coupling as a matter of communication of context-information. In this paper, we describe a scenario for lecture services based on the ubiquitous computing e e e e e e to verify the utilization of WS-CAM We also show an example of middleware-independent system expansion to display the merits of web-based services. WS-CAM for lecture services represented context-information itodomaits as OWL-based ontology model effectively, and we confirmed the information is inferred to high level context-information by user-defined rules. We also confirmed the context-information is transferred to application services middleware-independently using various web methods provided by web services.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상황 인식 기술은 수집된 컨텍스트 정보를 효과적으로 구조화하여 표현하고, 이러한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한 후,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등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상황 인식 컴퓨팅을 위한 프레임워크인 WS-CAM으로 명명된 웹 서비스에 기반한 상황 인식 미들웨어를 제안한다. WS-CAM은 온톨로지 기반의 컨텍스트 모델을 사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컨텍스트 정보에 대한 충분한 표현력과 추론 기능을 제공하고, 미들웨어로부터 응용 서비스로의 컨텍스트 정보 전달에 있어서 웹 서비스를 적용하여 미들웨어 독립적인 응용 개발을 이룰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한다. 또한, WS-CAM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 기반을 둔 강의 서비스 시나리오를 기술하고, 웹 서비스 기반의 장점을 보이기 위하여 미들웨어 독립적인 시스템 확장의 예를 보인다. 강의 서비스에 적용한 WS-CAM은 도메인 환경 내의 컨텍스트 정보를 OWL 기반 온톨로지 모델로 효과적으로 표현하였고, 사용자 정의 규칙에 의하여 고수준의 컨텍스트 정보로 추론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웹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웹 메서드를 통하여 컨텍스트 정보가 응용 서비스에 미들웨어 독립적으로 전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B. N. Schilit, etc, "Context-Aware Computing Applications." IEEE Workshop on Mobile Computing Systems and Applications, 1994, pp. 85-90.
  2. A. K. Dey and G. D. Abowd, "The Context Toolkit: Aiding the Development of Context Enabled Applications" CHI'99, 1999, pp.15-20.
  3. M. Roman, etc, "Gaia : A Middleware Infrastructure to Enable Active Spaces." IEEE Pervasive Computing, 2002, pp.74-83.
  4. 송영록, "웹 서비스를 이용한 온톨로지 기반 유비쿼터스 상황 인식 미들웨어 설계", 인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5. OWL, http://www.w3.org/2004/OWL/.
  6. DAML Services Coalition, "DAML-S: Web Service Description for the Semantic Web." First International Semantic Web Conference, 2002, pp. 348-363.
  7. W. Qin., etc, "CAMPS: A Middleware for Providing Context-A ware Services for Smart Space." Advances in Grid and Pervasive Computing, 2006, pp. 644-653.
  8. T. Gu, etc, "A Service-Oriented Middleware for Building Context-Aware Services" Journal of Network and Computer Applications, Vol. 28, 2004, pp. 1-18.
  9. H. Chen, etc, "Intelligent Agents Meet the Semantic Web in Smart Spaces." IEEE Internet Computing, 2004, pp. 2-12.
  10. G. Gehlen and G. Mavromatis, "Mobile Web Services based Middleware for Context-Aware Applications" Proceedings of the 11th European Wireless Conference, Vol. 2, 2005, pp. 784-790.
  11. T. Chaari, etc, "Design of Context-Aware Applications based on Web Services." UniversitaCaFoscari di Venezia reference-' Technical Report CS-2004-5, pp. 1-6.
  12. T. R Gruber, "A Translation Approach to Portable Ontology Specifications." Knowledge Acquisition, Vol. 5, 1993, pp. 199-220. https://doi.org/10.1006/knac.1993.1008
  13. T. Strang and C. Linnhoff-Popien, "A Context Modeling Survey." In: Workshop on Advanced Context Modelling, Reasoning and Management, UbiComp 2004, pp. 1-6.
  14. 정국상, "미들웨어 독립적인 응용개발을 위한 컨텍스트 인지 프레임워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7.
  15. 송영록 등, "무선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교량 안전진단 시스템에서의 XML을 이용한 데이터 처리", 한국멀티미디어학회, 제9권-2호, 2006, pp. 40.
  16. A. Seaborne. "RDQL - A Query Language for RDF." http://www.w3.org/Submission/2004/SUBM-RDQL- 2004109/.
  17. D. Booth and C. K. Liu, "Web Services Description Language(WSDL) Version 2.0 Part 0: Primer." http://www.w3.org/TR/2007/REC-wsdl20-primer-20070626/.
  18. UDDI, http://www.uddi.org/pubs/uddi_v3.htm.
  19. N. Miltra and Y. Lafon, "SOAP Version 1.2 Part 0: Primer." http://www.w3.org/TR/2007/REC-soap12-part0-20070427/.
  20. Jena - A Semantic Web Framework for Java, http://jena.sourceforge.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