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ed-mineralogical Characterization for the Quick-lime Manufactured from Fine-grained Domestic Limestones

국내산 세립질 석회석으로부터 제조된 생석회에 대한 응용광물학적 특성 평가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ore selection in lime manufacturing through the evaluation of applied-mineralogical impact factors of crude ores controlling calcination characteristics for some domestic limestones used currently for lime manufacturing. To do this work, systematic characterization and determination were carried out for the limestone ores and their calcination products in a fixed calcining condition (target temperature: $1000^{\circ}C$, retention time: 30 minutes, 2, 4, 10, 16 hours), and the results were correlated and discussed. Selected high-Ca limestones in this study are as much as > 98 wt%, but they are somewhat diverse in crystallinity, texture, and impurity composition. Synthesized quicklimes are varied depending on such a difference in ore characters. The Pungchon limestone has relatively very low calcination rate, and the limestones from the Gabsan formation and the Jeongseon formation exhibit good quality in calcination rate and decrepitation. Among these samples, the limestone ore from the Jeongseon formation is evaluated to be the best for crude ore in manufacturing of highly-reactive quicklime. In addition, it is characteristic that the Gabsan limestone comparative rich in Fe-bearing mineral such as pyrite and goethite is more conspicuous in sintering effect.

현재 국내에서 생석회 제조 용도로 사용되는 세립질 석회석을 대상으로 이들의 소성 특성을 규제하는 원광의 응용광물학적 세부 영향 요인들의 관여 정도를 평가함으로써, 생석회 제조 과정에서 원광 선택의 중요성을 고취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원광의 조성 및 조직적 특성과 동일한 가열처리 조건(온도: $1000^{\circ}C$ 시간: 30분, 2, 4, 10, 16 시간) 하에서 합성된 소성 산물들의 품질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 및 계측하고 그 결과를 비교 검토 하였다. 선정된 광석들은 모두 방해석 품위가 98 wt%를 상회하는 고품위 석회석이지만 결정도, 조직 및 불순물의 조성에 있어서 다소간의 차이를 나타낸다. 이 같은 원광 특성상의 차이에 따라 합성된 생석회는 다양한 품질 특성을 보인다. 석회석이 산출되는 암층별로는 풍촌층 석회석이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소성율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고, 갑산층과 정선층 석회석은 소성율과 분화율에 있어서 좋은 품질 특성을 보였다. 소성율과 소결 정도 및 분화율 등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정선층에서 산출된 석회석이 고반응성 생석회의 원료로서 가장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소결 현상은 상대적으로 황철석 및 침철석과 같은 함철광물의 함량이 높은 갑산층 석회석에서 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노진환, 오성진, 김경진 (2004) 국내산 고품위 석회석의 광물상 빛 광불 특성에 대한 응용광물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광물학회지, 17(4), 339-355
  2. 노진환, 오성진 (2005) 풍촌층 석회암의 열수변질과 고품위 석회석의 생성. 한국지질학회지, 41, 175-197
  3. 노진환, 이나경 (2007) 풍촌층 고품위 석회석의 분체 특성 및 분쇄 효과에 관한 응용광물학적 연구.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44, 191-207
  4. 노진환, 이현철 (2008) 생석회 제조 공정에서의 풍촌층 고품위 석회석의 소성 특성. 한국광물학회지, 21(2), 209-224
  5. 노진환 (2009) 현대적 의미에서의 석회석의 광석 평가방안, 석회석연구개발협의회 제 5회 세미나 논문집; 탈황용 석회석의 합리적 품위 및 품질 평가, 석회석 연구개발협의회, 1-13
  6. 서인국 (1997) 평해, 삼척, 체천 일부지역에서 산출되는 석회석의 특성이 석회소성에 미치는 영향연구. 한국자원공학회지, 34, 363-373
  7. 이재장, 최재석, 민경원, 박종력 (2001) 석회석의 부가가치 향상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현 논문집, 1(1), 169-179
  8. Boynton, R.S. (1980) Chemistry and technology of lime and limestone, John Wiley & Sons, 578
  9. Harrison, D.J. (1992) Industrial minerals laboratory manual: Limestone. British geological survey, 39-40
  10. Hedin, R. (1954) Changes occurring in the limestone during hεating before calcination, Swed. Cem. Conc. Res. Inst. Bull., 23, 34
  11. Hedin, R. (1960) Investigations of the lime burning processes , Swed. Cem. Conc. Res. Inst. Bull., 32
  12. Job, A.R. (1973) A new look at calcination, National Lime AssociationOperating Meeting, Banff, Canada, unpublished
  13. Moropoulou, A., Bakolas, A., and Aggelakopoulou, E. (2001) The efflects of limestone characteristics and calcination temperature to the reactivity of the quicklim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31, 633-639 https://doi.org/10.1016/S0008-8846(00)00490-7
  14. Murray, J.A. (1956) Summary of Fundamental research on lime, National Lime Association
  15. Oates, J.A.H. (1998) Lime and limestone, Weinheim: Wiley-VCH, 455
  16. Taylor, J.C. and Matulis, C.E. (1994) A new method for Rietveld clay analysis. Part 1. Use of a universal measured standard profile for Rietveld quantification of montmorillonite. Powder Diffraction, 9, 119-123 https://doi.org/10.1017/S0885715600014093
  17. Taylor, J.C. and Hinczak, I. (2001) Rietveld made easy: A practical guid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method and successful phase quantification, 201
  18. 日本石灰協會技術委員會 (1992) 石灰ハンドブック. 日本石灰協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