펨토셀 네트워크를 위한 3GPP-LTE 표준에 따른 분산형 동적 대역 조정 연구

  • 발행 : 2009.10.28

초록

최근 가정이나 사무실 등 옥내 사용자들의 통신 환경의 개선을 위해 펨토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펨토셀의 서비스 반경 특성상 고정된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여러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는 향후 통신환경에서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1]-[3]. 본고에서는 3GPP-Long Term Evolution (LTE) 환경에서 물리 계층 표준의 프레임 구조를 살펴보고, 3GPP-LTE 구조에 여러 펨토셀이 적용되었을 때 효율적인 간섭회피 방법을 제안한다. 펨토셀 환경은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반경이 넓지 않아 주파수 대역의 재사용이 용이하다. 이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전체 시스템에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분산형 동적 대역폭 조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키워드

참고문헌

  1. 정정수, 최성호, 'LTE 초소형 기지국', 한국통신학회지 (정보와 통신) 제25권 제9호, 2008년 8월, pp.41-48
  2. 상영진, 김광순, '펨토셀 자기구성 기술 동향', 한국통신학회지 (정보와 통신) 제25권 제12호, 2008년 11월, pp.49-56
  3. 노미진, 김주선, '유무선 통합 시대의 펨토셀 동향 및 비즈니스 모델'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3권 제2호, 2008년 4월,pp. 91-97
  4. Tae-Hwan Kim, Tae-Jin Lee, 'Throughput Enhancement of Macro and Femto Networks By Frequency Reuse and Pilot Sensing' , Computing and Communications Conference, Dec. 2008, pp. 390-394
  5. 윤영우, 노동욱, 서동현, 이정훈, 김은선, 'LTE 하향 링크의 물리 계층 주요 요소 기술 소개', 한국통신학회지(정보와 통신) 제25권 9호, 2008년 8월, pp 9-23
  6. 3GPP 36.211, R8,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for E-UTRA and E-UTRAN' ,v8.3.0
  7. 3GPP 36.213, R8, 'physical layer procedure for E-UTRA and E-UTRAN' ,v8.3.0
  8. 3GPP 36.300, R8, 'E-UTRA and E-UTRAN overall descriptions stage', v8.5.0
  9. Sung-won Kim, Kun-yong Kim, 'Physical Layer Verification for 3GPP LTE (FDD)' , Advanced Communication Technology, lCACf 2009, Vol. 02, Feb 2009, pp. 1095-1100
  10. Toskala A., Holma H., Pajukoski K, Tiirola E. 'Utran Long Term Evolution in 3GPP' , PlMRC 2006, Sept. 2006, pp. 1-5
  11. Yingming Tsai, Guodong Zhang, Grieco D, Ozluturk F, 'Cell search in 3GPP long term evolution systems' , Vehicular Technology Magazine, vol. 2, June 2007, pp. 23-29
  12. Farooq Khan, 'LTE for 4G Mobile Broadband' , Cambridge, 2009
  13. Stefania Sesia, lssam Toufik and Matthew Baker, 'LTE-The UMTS Long Term Evolution' , Wiley, 2009
  14. David W. Matula and Leland L. Beck, 'Smallest-last ordering and clustering and graph coloring algorithms' , Journal of the ACM (JACM), vol.30, no.3, July 1983, pp. 417-427 https://doi.org/10.1145/2402.322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