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Private Security Guard

시큐리티 요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 김경식 (호서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 사회체육학과) ;
  • 김상진 (경기대학교 경호안전학과)
  • Published : 2009.10.28

Abstract

This study is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security guard. 420 members of private security companies in Seoul were selected. Total 356 copies were picked up as the final sample. In conclusion, First, job stress among the private security guard have an effect on the social support. In other words, even though their role and personal relationship put them under a lot of stress, social support is high. while the more stress of duty they have, the lower social support is. Second, job stress among the private security guard have an effect on the subjective well-being. That is to say, the more stress of duty they have, the lower subjective well-being is. Third, social support has an effect on the subjective well~being. Namely, the more social support by neighbor and family is, the higher subjective well-being is. Forth, job stress has a direct or indirect effects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well-being in meal or in malt.

이 연구는 시큐리티 요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2009년 서울소재 민간경비회사에 재직 중인 경비원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유의표집법(purposiv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42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으나, 연구에 사용된 사례 수는 총 356명이다. 이 연구는 SPSSWIN 16.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는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친다. 즉, 역할 및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많음에도 사회적 지지가 높은 반면, 직무특성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사회적 지지는 감소한다. 둘째, 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는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친다. 즉, 직무특성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주관적 안녕감은 감소한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친다. 즉, 이웃과 가족의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주관적 안녕감은 높아진다. 넷째, 직무스트레스는 사회적지지 및 주관적 안녕감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종옥, 염영희,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 만족 및 조직몰입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역할", 대한간호학회지, 제33권, 제2호, p.272, 2003.
  2. 김경식, 김찬선, 이광렬, 김평수, "시큐리티 요원의 여가관 분석", 한국콘텐츠학회지, 제9권, 제1호, pp.27-38,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1.388
  3. 김상진, "민간경비원의 직무환경에 따른 직무적 합성과 조직유효성의 관계: 현장출동직 경비원을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31호, p.58, 2008.
  4. 김태근, "스포츠조직체의 조직풍토 및 조직내 역할지각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2.
  5. 문용, 김태운, "직장인의 지각된 여가유능감 및 조절력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논총, 제9호, p.142, 1996.
  6. 박영진, 안황권, 왕석원, "민간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 제12권, p.178, 2006.
  7. 박영호, 김정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건강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강인성의 역할", 경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교육이론과 실천, 제10권, 제11호, 2000, p.473.
  8. 사이버경찰청, http://www.police.go.kr. 검색일:2001. 2. 7.
  9. 이상구,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와 사회적지지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제37권, 제4호, p.161, 1998.
  10. 이신숙, 이경주, "노인의 일상적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제22권, 제1권, p.2, 2002.
  11. 이경선, "노인의 여가스표츠 참가와 사회적 지지 고독감 및 사회관계망의 관계", 명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5.
  12. 양명환, "신체활동과 심리적 행복감: 인지적정서 상태 측정치 개발", 한국스포츠 심리학회지, 제9권, 제2호, 1998.
  13. 최인규,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와 직무 탈진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중재 효과 분석", 한국스포츠심리학회, 제14권, 제4호, p.179, 2003.
  14. 배기철, 김현철, 황윤용, "여행업 종사원의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학회, 제27권 제1호, pp.221-243, 2003.
  15. S. Cohen and H. M. Hoberman, Positive event and social support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p.99, 1983.
  16. J. S. House and R. L. Kahn, Measures and concepts of social support. In S. Cohen and L. Syme, Social support and health, pp.83-108. 1985.
  17. N. Gupta and T. Beehr, Job stress and employee behaviors. Orgar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Vol.23, No.3, pp.373-387. 1979. https://doi.org/10.1016/0030-5073(79)90004-7
  18. G. Ross, Work stress and personality measures among hospitality industry employee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mporary Hospitality Management, Vol.7, No.6, pp.9-13, 1995. https://doi.org/10.1108/09596119510095334
  19. Ross. G, Career stress reponses among hospitality employees.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24, No.1, pp.41-51, 1997. https://doi.org/10.1016/S0160-7383(96)00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