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역사회기반 사회서비스 분야 고용활성화 방안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Promoting Employment in Community-based Social Service Sectors: Focusing on Gwangju Metropolitan City, Republic of Korea

  • 이형하 (광주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정성일 (광주여자대학교 콜마케팅학과)
  • 발행 : 2009.10.28

초록

본 연구는 지역사회 차원에서 사회서비스 부문의 주요 직종인 교육 및 보육서비스,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 분야 등에 대한 고용창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사회서비스 부문의 고용창출을 통해 지역사회의 복지수준을 제고하고, 사회 양극화를 해소하며, 여성 등 잠재인력의 경제활동참가를 증진하기 위한 고용창출의 원칙과 인력의 전문성을 확보를 위한 다양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개선방안으로 사회서비스 공급자를 위한 교육훈련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고, 공공과 민간의 유관 부서간의 협력과 조정이 필요하며, 사회적 기업의 성공을 위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모델적인 사회적 기업을 발굴과 홍보가 필요하다.

This paper searches for programs for creating increased employment in local society in important occupation sectors such as education and training services, insurance and social welfare services, culture and arts, housing and environmental service fields. As part of an improvement plan, while strengthening investment in education training infrastructure for the suppliers of social services,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by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is necessary. Also necessary are identifying model social enterprises that are based upon joint efforts for success of social enterprises and publicity efforts necessary.

키워드

참고문헌

  1. 박세경, "참여정부 사회서비스 정책의 성과와 과제", 보건복지포럼, 제133호, pp.33-35, 2007(11).
  2. 안상훈, "사회서비스투자국가로의 전환논리 : 하나의 비교사회정책학적 서설", 사회투자국가로의 전환과 사회복지노동시장, 2006년도 한국사회복지학회 추계 공동학술대회자료집, pp.42-45, 2006.
  3. 이봉주, "인적자본과 불평등, 그리고 사회복지서비스", 사회복지와 인적자원개발, 2006년 한국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자료집, pp.60-65, 2006.
  4. 이현주, 강혜규, 정경희, 공공부조와 사회복지서비스의 전달체계 비교분석, pp.12-16, 2005.
  5. 민현주, 강민정, 이상원, 문순영, 박세경, 강혜규, 김형용, 심창학, 엄기욱, 최은영, 사회서비스 분야 여성알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pp.31-34, 2007.
  6. 박능후, "비전2030 해부 - 비전과 사회보험 부문", 한국 장기비전 2030년도 사회복지정책 분야 대해부,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자료집, pp.48-50, 2006.
  7. 김혜원, 김경희, 이주희, 최은영, OECD 주요국의 여성고용정책 연구: 영국.캐나다.스웨덴.덴마크, 한국노동연구원, pp.193-202, 2007.
  8.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사람입국신경쟁력특별위원회, 사람입국.일자리 정책 심포지엄 발표 및 토론 결과 요약, 2005(8).
  9. Daly, M. and Lewis, J., "The concept of social care and the analysis of contemporary welfare states", The british Joumal sociology Vol. 51, No.2, 2000.
  10. 정경희, 이현주, 박세경, 김영순, 최은영, 이윤경, 최현수, 방효정, 한국의 사회서비스 쟁점 및 발전 전략, 한국보건사회 연구원, pp.125-129, 2006.
  11. 강혜규, 노대명, 박세경, 강병구, 이상원, 조원일, 이병화, 사회서비스 확충방안 연구-주요 사회서비스 수요 추계 및 정책과제-,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pp.142-144, 2007.
  12. 정향진, 정택수, 김상호, 이지전, 이숙진, 사회서비스 확충 전략에 따른 인력의 전문성 확보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173, 2006.
  13. 강혜규, "한국 사회서비스 정책의 현황과 서비스 확충의 과제", 보건복지포럼, 제 125호, pp.6-8, 2007(3).
  14. 이영범, 남승연, "사회서비스 시장화를 위한 일자리 창출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사회서비스사업과 여성인력활용, 2008년도 한국거버넌스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211-213, 2008.
  15. 기획예산처 사회서비스향상기획단, 사회서비스 일자리 창출을 위한 워크숍 자료집, 2007.
  16. 김혜원, 안상훈, 조영훈, 사회서비스 분야 일자리 창출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노동보험 연구센터, pp.120-123, 2006.
  17. 김진욱, "한국 사회서비스의 공사역할분담 개혁방향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제31집, pp.191-192, 2007.
  18.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 여성인력개발 기본계획(2008-2012), 2007(12).
  19. 광주광역시, (사)한국사회조사연구소, 기업체 여성인력수요정보조사 및 DB 구축, 20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