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esent State of Institute Composition and Reform Measures of Nursing Homes

노인요양시설의 시설구성 현황과 개선방안

  • Published : 2009.10.28

Abstract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provide basal material on institute composition of nursing homes that will be built in the near future. According to the result, five of the passages are central type, one of them is extensive type, and the other is group type. Secondly, in living space bedroom area is widest, and both sizes of bedroom system and floor heating system are the same. Thirdly, the sizes of clinic room and physical therapy room are similarly widest in medical space, and people use physical therapy room most frequently. Fourth, dining room and kitchen area are widest in public space, and it is hard to move to program room. Fifth, office area is widest in superintendent space, and it is located near lobby on the first floor. Sixth, the dimension per individual doesn't reach the standard of bedroom size per individual. Seventh, in each space, the rate of whole dimension of living space is highest.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의 시설구성에 관한 실태조사를 통하여, 앞으로 계획되어질 노인요양시설의 시설 구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첫째, 복도부분은 5개 시설은 중복도형이고 1개 시설은 확대복도형, 1개 시설은 그룹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거부분은 침실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침대식과 온돌식의 크기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료부분은 의료 간호사실과 물리치료실의 비율이 비슷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물리치료실에 대한 호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공용부분은 식당 조리실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프로그램실로 이동하는데 많은 부담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관리부분은 사무실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층 로비와 인접 배치되어 있었다. 여섯째, 1인당 소요면적은 3개 시설이 1인당 침실 면적 기준에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시설의 부분별 전체 연면적 비율은 주거부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2007년 생명표 결과, 2008.
  2. 이가옥, 이미진, "가족이 수발한 장기요양보호노인의 보호욕구 사정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5권, pp.255-275, 2000.
  3. 임태섭, 김병선, "노인전문요양시설에 적합한 친환경 건축물 인증기준의 실내환경 평가항목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2권, 제10호, pp.311-318, 2006.
  4. 권순정, "노인의 특성과 노인의료복지시설의 건축계획", 건축, pp.25-29, 2003.
  5. 이민아, "노인요양시설 활동공간의 구성유형과 형태별 위계적 특성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6권, 제5호, pp.195-209, 2008.
  6. 손수진, 이특구, "노인요양시설 주거부분 공유공간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제5권, 제9호, pp.37-45, 1999.
  7. 권순정, "한국노인요양시설의 공급량추정 및 시설계획에 관한 연구", 서울대박사학위논문, 1999.
  8. 김명희, 정기남, "치매노인주거시설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환경학회지, 제12권, 제4호, pp.269-283, 2005.
  9. 김성한, 강건희, "노인전문병원의 주요부문 공간 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제18권 p.7, 2002.
  10. 한균, 권순정, "치매노인전문요양시설의 복도공간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제11권, 제 1호, pp.69-77, 2005.
  11. 황성일, 홍선관, 김억, "도심지 노인요양시설의 복합화를 위한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4권, 제2호, pp.327-330, 2004.
  12. 최지혜, 함욱, 이낙운, "노인요양시설의 거주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제10권, 제1호, pp.47-57, 2004.
  13. 김경민, 정량부, "노인전문요양시설의 치료서비스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5권, 제1호, pp.339-342, 2005.
  14. 김정, 박정은, 이효원, "전남지역 실비양로시설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6권, 제1호, pp.9-13,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