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 프로그램에 대한 과학영재고등학생들의 인식 연구

A Study of Scientifically Gifted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n the Research and Education Program

  • 강성주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과) ;
  • 김현주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과) ;
  • 이길재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과) ;
  • 권영식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과) ;
  • 김명희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과) ;
  • 김연숙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과) ;
  • 김윤화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과) ;
  • 신호심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과) ;
  • 임희영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과) ;
  • 하지희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과)
  • Kang, Seong-Joo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
  • Kim, Hyun-Joo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
  • Lee, Gil-Ja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
  • Kwon, Young-Sik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
  • Kim, Myung-He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
  • Kim, Yeon-Suk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
  • Kim, Yun-Hwa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
  • Shin, Ho-Si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
  • Lim, Hee-You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
  • Ha, Ji-He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 발행 : 2009.10.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R&E 프로그램에 참여한 27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R&E의 목적, 주제 선정 과정, R&E의 장단점에 관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R&E의 목적과 장점에 대하여 학생들은 '예비 과학자로의 자질 함양, '연구 기회 제공', 탐구 수행 능력 신장'으로 인식하였으며, 단점으로는 '연구에 소비된 시간', '타율적 참여', '연구 내용의 어려움' 등을 언급하였다. R&E 프로그램은 정해진 주제 제시된 실험과정 문제 발생 시 전문가의 도움으로 진행되는 기술적 도제과정이 대부분이었으며,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신장보다는 새로운 실험 장비나 첨단 기술을 접하는 기회 제공 차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R&E 프로그램에서 멘토의 역할이 중요하며, 멘토의 역할은 학생들의 생산적 참여 정도와 과학 및 과학자의 인식에 큰 영향을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high school students to the research and education (R&E) program. 270 scientifically gifted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R&E program were sampled and surveyed according to the R&E' purpose, the process of topic selection, the advantage, and disadvantage of R&E. 4 students among them were interviewed in depth. Students perceived the purposes and advantages of R&E as fostering the scientist' qualifications, providing the research opportunities, and improving the inquiry ability and the disadvantages of R&E as the time consumption in research, the participation as a sideline, and the difficulty of contents. The R&E program was mainly composed of a pre-determined topic, fixed procedures, and expert's settlements in the problem-emerging situation and was not cognitive but technical apprenticeship. In addition, students considered the participation of R&E as a chance of experience about the high techniques and the valuable instruments instead of the improvement on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he role of mentors in the R&E program is so important that it affects largely on the productive participation and the perceptions of science and scientists.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용주, 정진수, 강민정, 김영신 (2003). 과학적 가설 지식의 생성과정에 대한 바탕이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458-469
  2. 권재술, 김범기 (1994). 초${\cdot}\alpha$중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51-264
  3. 김경대, 심재영 (2008). R&E 프로그램을 체험한 과학영재들의 사사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인식: KAIST 신입생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4), 282-290
  4. 김대진, 신광문, 이성묵 (2008). 흑체복사를 이용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새물리(한국물리학회), 56(2), 63-73
  5. 김명환 (2003), 창의적 사사교육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국제전문가 초청 Workshop, 한국과학재단, p94
  6. 김종득, 김훈, 박은영, 이범진, 최호성 (2005). 과학영재학교 R&E 사업 결과보고서. 대전: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7. 동효관, 홍준의, 신영준, 김경호, 이길재 (2003). 과학영재가 선호하는 수업형태와 수업환경 조사를 위한 수업 전략의 개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1(1), 16-23
  8. 이선길 (2006). 고등학교 과학영재를 위한 사사연구(R&E) 프로젝트 학습모형의 개발과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이정규, 김현철 (2007). 고등학교급 영재교육기관의 교육과정의 비교 및 발전방안. 영재와 영재교육, 6(1), 5-22
  10. 이정규, 김현철, 최인수, 김흥원, 이윤옥 (2006).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양성과 임용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3(2), 343-363
  11. 임길선, Yager, R. E. (2007). 과학영재의 지속성 계발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방향. 한국일본교육학연구, 11(2), 1-20
  12. 장명덕, 홍상욱, 정진우 (2002). 중학교 2학년 과학영재들의 과학 지식에 대한 과학철학적 관점과 이에 대한 토론 및 읽기 활동의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3(5), 397-405
  13. 조현준, 양일호, 이효녕, 송윤미 (2008). 초등과학영재의 논증활동에서 사용된 증거의 수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5), 495-505
  14. 지명근(2005). R&E 프로그램의 운영과정 및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2004년 과학고등학교 R&E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5. 하지희, 이화종, 강성주 (2009). 모델링 활동에 대한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식. 영재교육연구, 19(1), 183-201
  16. 황명주 (2007). 과학영재 R&E지도를 위한 과학공동체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과 자기센서 소자 개발학습과정의 적용.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Driver, R. & Newton, P. & Osborne, J. (2000). Establishing the no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 Science Education, 84(3), 287-312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200005)84:3<287::AID-SCE1>3.0.CO;2-A
  18. Edwards, A. & Jones, S. M. & Wapstra, E. & Richardson, A. M. (2007) Engaging students through authentic research experiences. UniServ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Research Proceedings, 168-172
  19. Grabowski, J. & Heely, M. E. & Brindley, J. A. (2008). Scaffolding Faculty-Montored Authentic Research Experiences for First-Year Students. CUR Quarterly, 29(1), 41-47
  20. Hapkiewicz, A. (1999) Authentic Research within the Grasp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Chemistry Education, 76(9), 1212-1214 https://doi.org/10.1021/ed076p1212
  21. Kvale, S. (1987). Validity in the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 methods. Journal of Human Science, 1(2), 37-72
  22. Patton, M. Q. (2000).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3rd Ed.) London: Sage publications, pp 104-110, 113-115, 482-487, 497-499
  23. Sternberg, R. J. (1988). A three-fact model of creativity. In Sternberg, R. J., (Ed),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s, 125-147.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Watson, J. R. & Swain, J. R. L. & McRobbie, C. (2004). Student's discussions in practical scientific inqui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6(1), 2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