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Scientifically Gifted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n the Research and Education Program

R&E 프로그램에 대한 과학영재고등학생들의 인식 연구

  • Kang, Seong-Joo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
  • Kim, Hyun-Joo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
  • Lee, Gil-Ja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
  • Kwon, Young-Sik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
  • Kim, Myung-He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
  • Kim, Yeon-Suk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
  • Kim, Yun-Hwa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
  • Shin, Ho-Si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
  • Lim, Hee-You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
  • Ha, Ji-He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 강성주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과) ;
  • 김현주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과) ;
  • 이길재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과) ;
  • 권영식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과) ;
  • 김명희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과) ;
  • 김연숙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과) ;
  • 김윤화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과) ;
  • 신호심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과) ;
  • 임희영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과) ;
  • 하지희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과)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high school students to the research and education (R&E) program. 270 scientifically gifted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R&E program were sampled and surveyed according to the R&E' purpose, the process of topic selection, the advantage, and disadvantage of R&E. 4 students among them were interviewed in depth. Students perceived the purposes and advantages of R&E as fostering the scientist' qualifications, providing the research opportunities, and improving the inquiry ability and the disadvantages of R&E as the time consumption in research, the participation as a sideline, and the difficulty of contents. The R&E program was mainly composed of a pre-determined topic, fixed procedures, and expert's settlements in the problem-emerging situation and was not cognitive but technical apprenticeship. In addition, students considered the participation of R&E as a chance of experience about the high techniques and the valuable instruments instead of the improvement on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he role of mentors in the R&E program is so important that it affects largely on the productive participation and the perceptions of science and scientists.

본 연구에서는 R&E 프로그램에 참여한 27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R&E의 목적, 주제 선정 과정, R&E의 장단점에 관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R&E의 목적과 장점에 대하여 학생들은 '예비 과학자로의 자질 함양, '연구 기회 제공', 탐구 수행 능력 신장'으로 인식하였으며, 단점으로는 '연구에 소비된 시간', '타율적 참여', '연구 내용의 어려움' 등을 언급하였다. R&E 프로그램은 정해진 주제 제시된 실험과정 문제 발생 시 전문가의 도움으로 진행되는 기술적 도제과정이 대부분이었으며,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신장보다는 새로운 실험 장비나 첨단 기술을 접하는 기회 제공 차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R&E 프로그램에서 멘토의 역할이 중요하며, 멘토의 역할은 학생들의 생산적 참여 정도와 과학 및 과학자의 인식에 큰 영향을 주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용주, 정진수, 강민정, 김영신 (2003). 과학적 가설 지식의 생성과정에 대한 바탕이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458-469
  2. 권재술, 김범기 (1994). 초${\cdot}\alpha$중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51-264
  3. 김경대, 심재영 (2008). R&E 프로그램을 체험한 과학영재들의 사사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인식: KAIST 신입생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4), 282-290
  4. 김대진, 신광문, 이성묵 (2008). 흑체복사를 이용한 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새물리(한국물리학회), 56(2), 63-73
  5. 김명환 (2003), 창의적 사사교육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국제전문가 초청 Workshop, 한국과학재단, p94
  6. 김종득, 김훈, 박은영, 이범진, 최호성 (2005). 과학영재학교 R&E 사업 결과보고서. 대전: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7. 동효관, 홍준의, 신영준, 김경호, 이길재 (2003). 과학영재가 선호하는 수업형태와 수업환경 조사를 위한 수업 전략의 개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1(1), 16-23
  8. 이선길 (2006). 고등학교 과학영재를 위한 사사연구(R&E) 프로젝트 학습모형의 개발과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이정규, 김현철 (2007). 고등학교급 영재교육기관의 교육과정의 비교 및 발전방안. 영재와 영재교육, 6(1), 5-22
  10. 이정규, 김현철, 최인수, 김흥원, 이윤옥 (2006).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양성과 임용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3(2), 343-363
  11. 임길선, Yager, R. E. (2007). 과학영재의 지속성 계발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방향. 한국일본교육학연구, 11(2), 1-20
  12. 장명덕, 홍상욱, 정진우 (2002). 중학교 2학년 과학영재들의 과학 지식에 대한 과학철학적 관점과 이에 대한 토론 및 읽기 활동의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3(5), 397-405
  13. 조현준, 양일호, 이효녕, 송윤미 (2008). 초등과학영재의 논증활동에서 사용된 증거의 수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5), 495-505
  14. 지명근(2005). R&E 프로그램의 운영과정 및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2004년 과학고등학교 R&E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5. 하지희, 이화종, 강성주 (2009). 모델링 활동에 대한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식. 영재교육연구, 19(1), 183-201
  16. 황명주 (2007). 과학영재 R&E지도를 위한 과학공동체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과 자기센서 소자 개발학습과정의 적용.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Driver, R. & Newton, P. & Osborne, J. (2000). Establishing the no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 Science Education, 84(3), 287-312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200005)84:3<287::AID-SCE1>3.0.CO;2-A
  18. Edwards, A. & Jones, S. M. & Wapstra, E. & Richardson, A. M. (2007) Engaging students through authentic research experiences. UniServ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Research Proceedings, 168-172
  19. Grabowski, J. & Heely, M. E. & Brindley, J. A. (2008). Scaffolding Faculty-Montored Authentic Research Experiences for First-Year Students. CUR Quarterly, 29(1), 41-47
  20. Hapkiewicz, A. (1999) Authentic Research within the Grasp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Chemistry Education, 76(9), 1212-1214 https://doi.org/10.1021/ed076p1212
  21. Kvale, S. (1987). Validity in the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 methods. Journal of Human Science, 1(2), 37-72
  22. Patton, M. Q. (2000).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3rd Ed.) London: Sage publications, pp 104-110, 113-115, 482-487, 497-499
  23. Sternberg, R. J. (1988). A three-fact model of creativity. In Sternberg, R. J., (Ed),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s, 125-147.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Watson, J. R. & Swain, J. R. L. & McRobbie, C. (2004). Student's discussions in practical scientific inqui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6(1), 2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