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of Malus micromalus were studied in vitro. Ethanol extract of M. micromalus showed scavenging effects on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nitric oxide (NO) radicals. In addition, ethanol extract of M. micromalus inhibited the generation of superoxide anion ($O_2^-$) radical and uric acid by xanthine oxidase. We also investigated the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M. micromalus on NO production in a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Ethanol extract of M. micromalus significantly inhibited NO production and this inhibitory action was not due to the cytotoxicity. The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was markedly down-regulated by ethanol extract of M. micromalu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hibitory action of ethanol extract of M. micromalus on NO production in LPS-stimulated macropages might be due in part to abrogation of iNOS and COX-2 protein induction. Taken together, this study suggests that ethanol extract of M. micromalus could contribute to the chemoprevention and therapy of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본 연구는 제주에 자생하고 있는 제주아그배의 생리활성, 즉 항산화 효과와 항염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제주아그배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고자 비교 분석한 결과, 제주아그배 에탄을 추출물 (DPPH 소거활성 $IC_{50}$ 값, $16.1\;{\mu}g$/mL; NO 소거활성 $IC_{50}$ 값 $901.2\;{\mu}g$/mL; superoxide 소거활성 및 Xanthine oxidase 억제 활성 $IC_{50}$ 값 $42.5\;{\mu}g$/mL, $2.7\;{\mu}g$/mL)은 좋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그 분획물 중에서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항산화 활성 실험 모두에서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항산화 활성이 좋은 제주아그배의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탐색하기 위하여 대식 세포 모델을 이용하였다. LPS로 자극한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에서 NO 활성과 세포독성간의 상대적 비교지수인 선택지수를 이용하여 탐색한 결과 에탄을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2.9와 12.2로 가장 높은 상대적 NO 생성 억제 활성을 보였다. 그리고 NO 생성 억제율에 대한 $IC_{50}$ 값은 각각 $16.7\;{\mu}g$/mL, $4.1\;{\mu}g$/mL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기초로 하여 제주아그배의 에탄올 추출물의 NO 감소가 iNOS 단백질 감소에 의한 것임을 확인한 결과, 시료를 처리한 RAW 264.7 세포에서 iNOS 단백질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iNOS 단백질의 억제가 mRNA의 감소로 인한 것인지 조사하고자, RT-PCR을 통해 iNOS의 mRNA 발현을 조사한 결과, 단백질과 마찬가지로 농도 의존적인 mRNA 발현 감소를 볼 수 있었다. 제주아그배의 에탄을 추출물을 농도 별로 처리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COX-2 단백질과 mRNA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분획물 중에서는 NO 활성과 세포 독성간의 상대적 비교지수인 선택지수가 높았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에탄을 추출물보다도 NO, iNOS, COX-2의 억제 정도가 더 좋은 경향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