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ora of middle part in Gyeonggi Province

경기도 중부지역의 식물상

  • Ko, Sung-Chul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College of Life Science and Nano Technology, Hannam University) ;
  • Shin, Young-Hwa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College of Life Science and Nano Technology, Hannam University)
  • 고성철 (한남대학교 생명.나노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 신영화 (한남대학교 생명.나노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Floral study on the vegetation of 8 mountains including Taehwa-san, Mugab-san, Haehyeob-san, Guksa-bong, Gwanggyo-san, Samseong-san, Suri-san, and 200m peak neighboring to Mulwang lake was carried out from April to October, 2007. They belong to the middle part of Gyeonggi Province, and located between Lat. $37^{\circ}$13' 31.19" ${\sim}37^{\circ}$33' 3.48", Long. $26^{\circ}$43' 04.1" ${\sim}127^{\circ}$26' 28.38". Vascular plants collected in these areas were total 447 taxa composed of 386 species, 5 subspecies, 46 varieties and 10 forms of 262 genera under 92 families. The area from which the most plentiful plants were found was Mt. Gwanggyo-san. The areas with comparatively excellent vegetation are easy slopes nearby valleys in Mt. Gwanggyo-san, Mt. Suri-san and Mt. Haehyeob-san. Forests of the examined areas are generally mixed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plants, but herbaceous plants covering soil are becoming nearly extinct by air and soil pollutions except some sites. Families with abundant species are Compositae, Rosaceae, Liliaceae and Graminae, etc. Endemic plants found in these areas are 8 taxa of Clematis brachyura, Euonymus trapococcus, Viola seoulensis, Ajuga spectabilis, Scutellaria insignis, Weigela subsessilis, Aster koraiensis, Aconitum chiisanense and rare and endangered plants are 7 taxa of Arisaema heterophyllum, Iris odaesanensis, Eranthis stellata., Aconitum chiisanense, Prunus yedoensis (cultivar), Viola albida, and Syringa wolfi. As to useful plants, 192 taxa for the edible, 132 taxa for the medicinal, 130 taxa for the ornamental and 11 taxa for the staining were classified respectively. Among 17 taxa of specially designated plants, 5th degree plants are 2 taxa of Iris odaesanensis and Prunus yedoensis (cultivar), 4th degree plants are 2 taxa of Symplocarpus renifolius and Syringa wolfi, 3rd degree plants are 13 taxa of Dryopteris gymnophylla, Juniperus chinensis, Betula chinensis, Betula davurica, Diarrhena fauriei, Aconitum longecassidatum, Eranthis stellata, Spiraea salicifolia, Acer palmatum, Vaccinium koreanum, Scutellaria insignis, Weigela florida and Adoxa moschatellina.

경기도 중부지역의 북위 $37^{\circ}$13'31.19" ${\sim}37^{\circ}$33'3.48", 동경 $26^{\circ}$43'04.1" ${\sim}127^{\circ}$26'28.38" 사이에 해당되는 태화산 (624 m), 무갑산(571.8 m), 해협산(531.3 m), 국사봉(540 m), 광교산(582 m), 삼성산(481 m), 수리산(474.8 m), 물왕저수지 인근 200고지(200 m)의 8개 지역의 관속식물 식물상을 2007년 4월부터 10월까지 조사하였다. 생육이 확인된 관속식물의 총 분류군수는 92과 262속 386종 5아종 46변종 10품종으로서 총 447분류군이었다. 가장 많은 식물종이 확인된 지역은 광교산이며, 식생이 비교적 양호한 지역은 광교산, 수리산, 해협산이고, 주로 계곡 주변의 완만한 사면부이다. 조사지는 전반적으로 소나무와 Quercus류가 우세한 혼효림이며, 일부지역을 제외하고 임상의 초본식생은 토양과 대기의 오염에 의해 거의 절멸상태에 가깝다. 비교적 많은 분류군이 채집된 과는 국화과, 장미과, 백합과, 벼과 식물 순이다. 본 조사지에 생육이 확인된 특산식물은 외대으아리, 지리바꽃, 버들회나무, 서울제비꽃, 자란초, 광릉골무꽃, 병꽃나무, 벌개미취 등의 8분류군이며,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두루미천남성, 노랑무늬붓꽃, 너도바람꽃, 지리바꽃, 왕벚나무(식재), 태백제비꽃, 꽃개회나무 등의 7분류군이었다. 조사된 식물 중 유용식물로는 식용식물 192분류군, 약용식물 132분류군, 관상용식물 130분류군, 염료식물 11분류군이었으며, 귀화식물은 22분류군이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5등급의 노랑무늬붓꽃, 왕벚나무(식재)의 2분류군, 4등급의 앉은부채, 꽃개회나무의 2분류군, 3등급의 금족제비고사리, 개박달나무, 광릉용수염, 너도바람꽃, 산앵도나무, 연복초 등 13분류군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Lee, T.B. 1976.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s in Korea. Bull. Kwanak Arboretum 1: 1-137
  2. 강석오. 1971. 신한국지리. 새글사, 서울. Pp. 606
  3. 강우창, 장진성, 장계선, 김휘, 김정유. 2002. 수원시 근교 광교산의 식물상(II). 서울대학교 수목원 연구보고 22: 45-72
  4. 국토지리정보원. 2007. 한국지리지-수도권편. 국토지리정보원. pp. 26-136
  5. 김윤식, 박홍덕, 심정기. 1978. 무갑산의 식물조사연구. 식물분류학회지 8: 69-81
  6. 김태욱, 전정일. 1992. 수원시 근교 광교산의 식물상.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농학연구지 12: 13-29
  7. 박규하. 1992. 경기도의 관속식물상. 인천대학교 논문집 16: 45-74
  8. 박수현, 신준환, 이유미, 임종환, 문정숙. 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분포. 국립수목원 . 임업연구원. pp. 184
  9. 박종희, 이정규. 2000. 상용약용식물도감. 신일상사, 서울. Pp. 598
  10. 산림청. 1997.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도감. 산림청
  11. 오병운, 조동광, 김규식, 장창기, 2005. 한반도 특산관속식물. 국립수목원. pp. 205
  12. 이경재, 민성환, 한봉호, 김호식. 1997. 경기도 수리산 군포시험림식물군집구조. 환경생태학회지 11(3): 290-309
  13. 이우철, 임양재. 1978.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식물분류학회지 8: 1-33
  14. 정등조. 2006. 시민 휴식공간으로서의 산림자원 활용 및 보전전략에 관한 연구-군포시 수리산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조현재, 김상균. 1993. 도시림의 식생구조・동태 및 이용실태-인왕산, 삼성산, 수락산을 중심으로-. 임업연구원연구보고 48: 1-26
  16. 최도열, 장진성, 김정유, 전정일, 김휘, 민웅기, 강우창. 2001. 경기도의 식물상-태화산, 화야산, 대부도, 칠현산, 철마산, 검단산-.서울대학교 수목원 연구보고 21: 25-76
  17. 환경부. 2006. 제 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환경부
  18. 환경처. 1995. 녹지자연도 지역정밀조사: 경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