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iterary characteristics and material status about the translation of Sijo into Chinese poetry

시조 한역 자료의 현황과 그 성격

  • Published : 2009.01.31

Abstract

In this study, we will find out and understand of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and the material status about the translation of Sijo into chinese poetry which is the representative genre in Korean traditional poetry. Most of the work was done from 17th 19th century, and there are about 120 literary men who translated Sijo. 759 works are translated into Chinese poetry and we cannot find 135 works' original poetry. Therefore about 900 works are translated into Chinese poetry. One Sijo can be translated into more than 1 Chinese poetry, so there are more translated works. According to this study, there are 1356 translated works in total. Many works are done in piece by piece, however most of them are in series with many poems from 10 to 100. First, some popular Sijo was translated into series. Second, some serial Sijo or some Sijo of particular writers are translated into Chinese works. In first case, there are 22 writers' 27 works of Sijo along with Shinwi's "Soakbu" and 652 translated works. In the other case, there are 30 writers' 26 works of Sijo including 10 "Kosangugokga", which was translated by Song shiyul. There are 511 translated works. A lot of translations of Sijo into Chinese poetry are in various documents. They are in personal collections of works such as "Beonbanggok" in Namguman's "Yakchunjip". The works are in books of poems such as Hong yangho's "Chunggudangok" and Shinwi's "Jahasoakbu". In collection of Sijo like Shin heum's "Bangongshiyeo" in "Chungguyoungwon", there are some translated works as well. We can understand Sijo which we do not know the lyrics now by studying the materials about the translation of Sijo into Chinese poetry. The materials about the translation of Sijo into Chinese poetry have necessary value for studying the creation and tradition process of Sijo. In addition, with the materials, we can study the interaction between Korean literature and Chinese one, and also we can study about the changing aspects of Chinese poetry in Late Chosun.

본고의 연구 목적은 한국 전통시가의 대표적인 장르인 시조를 한시로 번역한 시조한역시 자료의 전체 현황을 정리하는 것이다. 시조의 한역은 주로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이루어졌다. 본고에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시조를 한역한 문인은 120명 정도이다. 한역 된 시조는 작품이 밝혀진 것이 759수이고 원시조를 확인하지 못한 것이 135수이다. 따라서 900여수에 가까운 시조가 한역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시조 1수가 여러 편의 한역시로 번역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실제 시조 한역시는 더 많다. 본고에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전체 한역시는 1356수에 달한다. 결국 시조 900여 수가 한시 1400여 수로 한역되었다고 할 수 있다. 시조의 한역은 한두 편씩 단편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지만 대개 10여수에서 100수가 넘는 작품에 이르기까지 연작을 이루는 경우가 많다. 연작시에는 유행하는 시조 가운데서 임의로 수집에서 한역한 경우와 원래 연작형을 이루고 있는 특정 작품이나 특정 인물의 작품만 한역한 경우가 있다. 전자는 신위의 <소악부>를 비롯해서 22인의 한역시 연작 27편이 있고 전체 한역시는 652수이다. 후자는 송시열이 번역한 <고산구곡가번문> 10수를 비롯해서 30인의 연작26편이 있고 전체 한역시는 525수이다. 그리고 1수에서 5-6수 정도로 단편적인 형태를 이루고 있는 시조 한역시 단편은 70여 인의 작품에 한역시는 180수 정도가 된다. 본고를 통하여 방대한 시조한역시의 규모와 자료 문헌적 성격이 드러났다. 한시 양식으로 번역되어 전승된 시조 한역시 자료는 시조의 창작과 전승과정 등을 연구하는 데 필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니며, 국문문학과 한문학이 상호작용한 교섭양상과 조선후기 한시사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는 데 귀중한 자료적 가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