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johaknonchong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Volume 30
- /
- Pages.219-240
- /
- 2009
- /
- 1226-2838(pISSN)
A Study on Sijo Theory of Jasan An Whak
자산 안확의 시조론 연구
Abstract
Jasan An Whak did research on the essence of Sijo to show that Sijo has some features as a literature. I tried to show the formation process of Sijo theory in 1930s through Jasan's Sijo theory. As a preparatory step for it, I introduced Jasan's Sijo theory released in early 1930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it. Jasan recognized a literature as a directing post that reveals the history of our national spirit. He thought a literature as a foundation for satisfying new age. Also, he recognized the essence of a literature as a emotional expression. He emphasized that a new literature in Joseon age should have not only particularity of Joseon literature but also universality of modern literature. Jasan studied style of Sijo. Because he was at the time of modernization, he used the term, 'style', instead of 'poongkyeok', which had used before modern time. He tried to show linguistic artistry of Sijo through the series of his works about the style of Sijo. Jasan tried to find formal beauty of Sijo in the aspect of rhythm instead of rhyme. And he claimed that poetic words can be lengthened or shortened to be harmonious with the melody of Sijo.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words of Sijo for harmonizing with a tune. Jasan recognized that the words of Sijo have a musical function as well as a semantic function.
자산 안확은 시조가 문학으로서의 자질을 갖고 있음을 밝히기 위해 시조의 본질을 탐구하였다. 필자는 자산의 시조론을 통해 1930년대 시조로 형성과정을 밝히고자 한다. 그 예비단계로 본고에서는 1930년대 초반에 발표된 자산의 시조론을 개괄하고 그 특징적 면모를 살펴보고자 한다. 자산은 우리 민족의 정신 발달사를 드러내는 하나의 지표로서 문학을 인식한다. 그는 문학을 새로운 시대에 부흥하기 위한 토대로 여기고 있었다. 아울러 그는 문학의 본질을 미적 감정의 표현으로 인식하였다. 과가 강조한 조선의 새로운 문학은 근대문학의 보편성과 조선문학의 특수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것이어야 했다. 자산은 시조의 문체를 연구한다. 근대화가 이루어지는 경계선에 서 있었던 자산은 근대 이전에 사용하던 '풍격'이라는 용어를 '문체'라는 용어로 현대적으로 변용하여 사용한다. 자산이 시조의 문체를 연구하는 일련의 작업들은 시조의 언어 예술성을 밝히려는 노력이었다. 자산은 우수율(宇數律)보다는 구박자(口拍子)에서 시조의 형식미를 찾고자 했다 그리고 시조의 선율에 어울리기 위해서는 시어를 연장할 수도 있고 축약할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 즉 시조의 곡조와 조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가사의 변개마저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자산은 시조의 가사는 내용전달이라는 의미론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음악적 기능도 한다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