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Typhoon's Characteristics on the Storm Surge at Gyeongnam Coastal Zone

태풍의 특성변화에 따른 경남해역 해일양상 고찰

  • Kang, Ju-Whan (Civil Engineering, Division of Construction Engineering, Mokpo National University) ;
  • Park, Seon-Jung (Civil Engineering, Division of Construction Engineering, Mokpo National University) ;
  • Moon, Seung-Rok (Planning & Projecting Department, GeoSystem Research Corporation) ;
  • Yoon, Jong-Tae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Kyungsung University)
  • 강주환 (목포대학교 건설공학부 토목공학) ;
  • 박선중 (목포대학교 건설공학부 토목공학) ;
  • 문승록 ((주)지오시스템리서치 연구기획부) ;
  • 윤종태 (경성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Linear-tracked typhoons were simula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ameter sensitivity at Gyeongnam coastal zone. To do this, appropriateness of the linear-tracked MAEMI(0314) was tested and 175 scenarios were simulated on the basis of virtual MAEMI. The results show surge heights are relatively large at Masan and Tongyeong, and it can be attributed to topographical effects. At Masan, 2.5 m-surge height is probable with the same intensity but slightly different track from the real typhoon MAEMI. At the other stations, surge heights induced by real MAEMI are nearly same as the maximum heights of the virtual typhoons, which indicates the real track of the typhoon MAEMI was almost the most severe one. Surge heights caused by the barometric effect are higher than those by the wind effect, and the former effect shows the maximum at the eye of typhoon.

태풍의 주요 매개변수 변화에 따른 영향을 판단하는데 용이하도록 직선화된 가상태풍을 생성시켰다. 이러한 가상태풍 모의를 통해 경남해역을 대상으로 해일양상 변화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태풍 MAEMI(0314)를 직선화한 가상태풍의 적절성을 검토한 후, 총 175개 CASE의 가상태풍모의를 수행하였다. 모의결과, 마산과 통영 해역은 지형적인 영향으로 다른 해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해일고가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마산해역의 경우 MAEMI와 동일한 강도의 태풍 내습시 경로에 따라 최대 2.50 m의 해일고가 발생 가능한 것으로 모의되었다. 마산 이외의 해역에서는 태풍 MAEMI의 해일고가 최대치에 근접하는 결과를 보여 MAEMI의 경로가 최악의 피해를 주는 경로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기압에 의한 수위 상승효과는 바람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하며, 태풍의 중심에서 그 효과는 최대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주환, 박선중, 박민원 (2008). 서남해안의 해수면 상승과 해일고 증가 경향.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20(1), 14-24.
  2. 국립방재연구소 (2002). 폭풍해일예측을 통한 상황대처 방안 연구
  3. 문승록, 강태순, 남수용, 황준 (2007). 폭풍해일에 의한 해안침수예상도 작성 시나리오 연구.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9(5), 492-501
  4. 문승록, 박선중, 강주환, 윤종태 (2006). MIKE21 모형을 이용한 목포해역 해일/범람모의.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18(4), 348-359
  5. 박종길, 김병수, 정우식, 김은별, 이대근 (2006). 한반도에 영향을 주는 태풍의 통계적 특성 변화.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16(1), 1-17
  6. 오재호 (2007). 미래 태풍 강도 변화에 관한 연구: 기후변화가 동아시아지역 태풍에 미치는 영향. 기후변화전문가 워크숍(제5차 기후변화 학술대회 및 제4차 기후변화 정책포럼), 21-24
  7. 천재영, 이광호, 김지민, 김도삼 (2008). 태풍 매미(0314호)에 의한 마산만 주변연안역에서의 범람해석. 한국해양공학회지, 22(3), 8-17
  8. 허동수, 염경선, 김지민, 김도삼, 배기성 (2006a). 부산연안에서 폭풍해일고의 추정. 한국해양공학회지, 20(3), 37-44.
  9. 허동수, 염경선, 김지민, 김도삼, 배기성(2006b). 경남연안의 지역특성에 따른 폭풍해일고의 변동. 한국해양공학회지, 20(3), 45-53
  10. 허동수, 이현우, 이우동, 배기성 (2008). 슈퍼태풍 내습 시 부산경남 연안역의 폭풍해일고.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20(1), 128-136
  11. Blain, C. A., Westerink, J. J. and Luettich, R. A. (1994). The influence of domain size o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a hurricane storm surge model.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99, 18467-18479 https://doi.org/10.1029/94JC01348
  12. Japan Meteorological Agency. http://www.jma.go.jp
  13. Luettich, R. A., Westerink, J. J. and Scheffner, N. W. (1992). ADCIRC: An Advanced Three-Dimensional Circulation Model for Shelves, Coasts, and Estuaries, Report I, Theory and Methodology of ADCIRC-2DDI and ADCIRC-3DL. US Army Corps of Engineers. Technical Report DRP-92-6.
  14. Mathew, J. P., Mahadevan, R., Bharatkumar, B. H. and Subramanian, V. (1996). Numerical simulation of open coast surges. Part I: Experiments on offshore boundary conditions. Journal of Coastal Research, 12, 112-122
  15. Mcinnes, K. L., Walsh, K. J. E., Hubbert, G. D. and Beer, T. (2003). Impact of Sea-level Rise and Storm Surges on a Coastal Community. Natural Hazards, 30(2), 187-207 https://doi.org/10.1023/A:1026118417752
  16. Peng, M., Xie, L. and Pietrafesa, L. J. (2004). numerical study of storm surge and inundation in the Croatan-Albemarle-Pamlico Estuary System.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59, 121-137 https://doi.org/10.1016/j.ecss.2003.07.010
  17. Reid, R. O. (1990). Water level changes. In: Herbich, J. (Ed.), Handbook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ing. Gulf Publishing, Houston, TX
  18. Westerink, J. J., Luettich, R. A., Baptista, A. M., Scheffner, N. W. and Farrar, P. (1992). Tide and storm surge predictions using a finite element model.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118, 1373-1390 https://doi.org/10.1061/(ASCE)0733-9429(1992)118:10(1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