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a supervision as institution and their effects on participants: Perspectives of the sociological neo-institutionalismus

미디어 규제 제도가 행위자에게 미치는 영향 - 사회학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 심영섭 (건국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Published : 2009.11.15

Abstract

While the term of the institution as social manifestation has been discussed intensively through various theoretical approaches over the last few years in Social Sciences, such a debate has been missing so far in Communication Sciences. This paper attempts a theoretical discussion about the media as an institution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Sciences by applying the theory of organizational sociological neo-institutionalism. This research started out with the question which influence exerts the media on organizations and participants. The media is understood as an institution in the sense of permanent monitoring systems which create a) normative expectations b) which become stronger in order to assert such normative expectations c) the norms are applied by the participants d) in this application process, the participants accept the organizations, look primarily for the chosen paragraphs and exert an influence to change the norms. Organizations orient themselves at the institutional rules, because this way, they want to gain legitimacy and support. The media unfold their influence on organizations through certain obligations in addition to the pressure of the participants who deal with the organization and the media. Thus, media cannot exert influence independent from the organizationbut the participants accept the situation, which is generated by the many conflicting processes within the organization, they analyse them and transfer them.

사회과학에서 현상 형태로서 제도에 대한 개념연구는 다양한 이론적 접근방법을 통해 지난 수년간 집중적으로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커뮤니케이션학에서는 이러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에서는 조직사회학적 신제도주의 이론을 활용, 커뮤니케이션학 분야에서 제도로서 미디어에 대한 이론논의를 시도했다. 본 연구는 사회 체계로서 미디어가 조직과 행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행사하는지 규명하는데서 출발했다. 제도로서 미디어는 하나의 독자적인 체계로서 첫째로 규범적 당위를 제공하고, 둘째로 이러한 규범적 당위가 관철될 수 있도록 강제화하며, 셋째로 규범이 행위자에 의해서 실천되어, 넷째로 이 실천과정에서 행위자들은 제도를 인지, 우선적 선택사항을 찾아내어,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는 영향력을 행사하게 된다. 조직은 이러한 역동적인 규범 운용에 따라 유지되는데, 이는 규범을 통해 조직의 합법성을 인정받고, 조직유지를 위한 지지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제도로서 미디어는 조직에 일정한 영향력을 행사하지만, 동시에 조직과 미디어에 종사하는 행위자로로부터 이중의 압박을 받게 된다. 이는 미디어가 조직에서 독립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할 수는 없고, 단지 행위자들이 조직의 수많은 갈등과정에서 생성되는 현상들을 인지하고, 이를 해석하여 중계할 뿐임을 의미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