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Study of Art Therapy for Decrease in Depression and Anxiety and Improv in Self-esteem of maladaptive Behavior Child

부적응 행동 아동의 우울·불안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 이영환 (전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학과) ;
  • 정남주 (전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학과)
  • Received : 2009.10.30
  • Accepted : 2009.12.20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performing art therapy and looking into the effect on declining depression and anxiety and improving self-esteem, targeting at maladaptive behavior child in home and school living. So, this study made an application of fine art programs 2 session a week, for 50minutes each, total 24 sessions, targeting at elementary 1st girl graders(7 years old in full) in J city. In the end-term, this study performed a fine art therapy for 6 sessions together with mother-children. This study used a Korean-style Children Depression Inventory(CDI) developed by Kovacs and Beak(1977) and adapted by Jo Su Cheol and Lee Young Sik(1990) to look into children's decline in depression and anxiety and Revised Child Manifest Anxiety Scale(RCMAS) produced by Reynolds and Richmond(1978) and adapted by Jo Su Cheol and Choi Jin Suk(1990) to look into improvement of self-esteem. This study performed and analyzed KHTP, KFD painting examination, prior as well as post, to perform children's emotional appraisal and analyzed, classified with sessions, children's change in the progress of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ine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declining children's depression and anxiety. Second, fine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self-esteem. Third, children changed their emotional stability affirmatively in KHTP, KFD painting tests. Family affinity and cohesion were strengthened and changed into friendly family. Fourth, in the progress of programs, classified with sessions, children inclined their depression and anxiety and improved their self-esteem. This study leads to the result that art therapy inclines depression and anxiety in maladaptive behavior child and has an affirmative effect on improving self-esteem.

본 연구는 가정이나 학교생활에서의 부적응 행동 아동을 대상으로 미술치료를 실시하여 우울 및 불안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J시 초등학교 1학년 여자 아동(만 7세)으로 주 2회, 50분씩 총 24회기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치료 종결부분에 어머니-아동과 함께 6회기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아동의 우울 및 불안 감소를 알아보기 위해 Kovacs와 Beak(1977)이 개발한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CDI)를 조수철 이영식(1990)이 번안한 한국형 아동용 우울 척도와 자아존중감 향상을 알아보기 위해 Reynolds와 Richmond(1978)가 제작한 Revised Child Manifest Anxiety Scale(RCMAS)을 조수철 최진숙(1990)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정서적인 평가를 위해 KHTP, KFD 그림검사를 사전-사후로 실시하여 분석하였으며,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의 아동의 변화를 회기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아동의 우울 및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둘째, 미술치료가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셋째, 아동의 KHTP, KFD 그림검사에서는 긍정적으로 정서적 안정이 변화되었으며, 가족의 소속감 응집력이 강화되어 친밀한 가족으로 변화하였다. 넷째, 회기별 미술치료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 아동의 우울 및 불안이 감소되고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미술치료가 부적응 행동 아동의 우울 및 불안을 감소시키고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귀인.장도현(1984). 아동용 자아존중검사, 행동과학연구소. 제 10권 2호.
  2. 김동연(1994).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동아문화사.
  3. 김영숙(1995). 아동을 위한 상담이론과 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4. 김인선(2009).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아동의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 논문. 원광대 대학원.
  5. 김정순(2007). 집단미술활동이 부적응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대구대 특수교육 대학원.
  6. 김현아(2009). 부적응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의 효과. 박사학위 논문. 원광대 대학원.
  7. 김화정(2002).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아주대 교육대학원.
  8. 오가영(2006). Theraplay 기법을 적용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박사학위 논문, 전북대 대학원.
  9. 윤승주(2009). 불안-우울 아동의 비지시적 미술치료 사례연구. 한국예술치료학회지, 9(1), 87-102.
  10. 유옥현.이근매(2006). 어머니 상담을 병행한 미술치료가 모-자 가정 아동의 정서.행동문제개선에 미치는. 미술치료연구, 3(2), 287-291.
  11. 정여주(2003). 미술치료의 이해. 서울: 학지사.
  12. 정여주(2007).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8(4), 97-111.
  13. 정은주(2008). 자기심리학적 미술치료가 아동의 자기애와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 논문. 영남대 대학원.
  14. 정진숙.김갑숙(2008). 학교생활 부적응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불안.우울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 예술심리치료연구, 4(1), 125-150.
  15. 조수철.이영식(1990). 한국형 소아 우울척도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29(4), 943-955.
  16. 조수철.최진숙(1990). 소아 불안의 측정: RCMAS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사. 신경정신의학, 29(3), 691-702.
  17. 주리애(2004). 그림에 사용된 색채의 임상적 의미. 박사학위논문. 서울대대학원.
  18. 최외선.전미향(1996). 아동의 부적응 행동 개선에 미치는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미술치료연구, 3(1), 83-99.
  19. Burns, R. C.(1987). Kinetic-House-Tree-Person Drawings. New York: Brunner/Mazel.
  20. Burns, R. C. & Kaufman, S. H.(1972). Action, Styles, and Symbols in Kinetic Family Drawings (K-F-D). New York: Brunner/Mazel.
  21. Burns, R. C.(1982). Self-Growth in Families: Kinetic Family Drawings(K-F-D) Research and Application. New York: Brunner/Mazel.
  22. Coopersmith, S.(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disco: Freeman.
  23. Train, A.(2000). Children behaving badly. London: Souvenir Press.
  24. Fine, M., & Zane, N.(1989). Being wrapped too tight: Why low-income women drop out of high school. In L. Weis, E. Farr, & H. G. Petrie(Eds). Dropouts from school: Issues, dilemmas, and solutions.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5. Gantt, L. M. (2001). The 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 A measurement system for global variables in art. Art Therapy: Journal of the American Art Therapy Association. 18(1), 51-55.
  26. Malchiodi, C. A.(1998). Understanding children's drawing. New York: Guilford Press.
  27. Malchiodi, C. A.(1999). Medical art therapy, Vol 1: Children, Vol 2: Adults. London: Jessica Kingsley.
  28. Kovacs, M., & Beak, A. T.(1977). An empirical-clinical approach toward a definition of childhood depression. In J. G. Schulterbrandt & A. Raskin(Eds.). Depression in childhood : Diagnosis, treatment, and conceptual models. New York: Raven Press. 1-25.
  29. Reynolds, C. R., & Richmond, B. O.(1978). What I think and feel-: A revised measure of children's manifest anxiety.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6, 271-280. https://doi.org/10.1007/BF00919131
  30. Maslow. A. H.(1980).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2nd ed New York: Van Nostrand Rejnhold Company Inc. 이혜성 역. 존재의 심리학.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31. Proulx, L.(2003). Strengthrning Emotional Ties through Parent-Child-Dyad Art Therapy: intervention with Infants and Preschoolers. USA: Jessica Kingsley Publi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