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Static and Dynamic Characteristics of Coal Ashes

석탄회의 정적 및 동적 특성 평가

  • Received : 2007.12.04
  • Accepted : 2008.09.26
  • Published : 2009.04.01

Abstract

This study presents static and dynamic strength of coal ashes collected from disposal site of power plant. Main compositions of coal ashes were bottom ashes. In order to evaluate static and dynamic characteristics of coal ash, NGI direct-simple shear tests, cyclic simple shear tests and direct shear tests were conducted. The strengths of coal ashes from those tests were compared to those of sands. Bottom ashes among coal ashes used for this study were classified as sand from the grain size distribution and show higher strength properties than the sands. For utilization of coal ashes in civil engineering project, mixing coal ashes with sandy soil using batch plant is inconvenient and the cost is higher than the spreading sand layer and coal layer alternately. In order to simulate both mixing type and layered type construction, sands and coal ashes were mixed with volume ratio 50:50 and prepared sand and coal ash layers alternately with the same volume ratio. From the tests mixed coal ashes-specimen shows slightly higher static and cyclic strength than the layered specimen at the same density. The higher strength seems due to the angular grain of bottom ashes. The cyclic stress ratio at liquefaction decreases rapidly as the number of cycle increases at mixed specimen than that of layered specimen.

본 연구는 발전소의 적치장에서 채취한 석탄회의 정적 및 동적 강도를 제시하였다. 석탄회는 주로 저회로 이루어져 있으며 정적 및 동적 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NGI형 단순전단시험, 반복단순전단시험 및 직접전단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러한 시험으로부터의 강도를 모래의 강도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석탄회 속에 있는 저회는 입도분포에 의하면 모래로 분류되었으며 모래보다 높은 강도 특성을 보였다. 석탄회를 토목공사에 활용되기 위해서 사질토와 석탄회를 50:50의 비율로 배치플랜트에서 섞어 사용하는 것은 사질토층과 석탄회층을 교대로 층별 시공하는 것보다 비효율적이다. 혼합시공과 층별시공을 모사하기 위하여 모래와 석탄회가 50:50으로 조성된 시료를 준비하였다. 시험결과 혼합에 의한 시료가 층별시료보다 약간 큰 정적 및 동적 강도를 나타내었다. 높은 강도는 주로 저회의 모난 입자로부터 기인된 것으로 보인다. 혼합시료에서 액상화시의 반복응력비는 반복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층별시료보다 급격히 감소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인하대학교

References

  1. 산업자원부 (2000), 석탄회 자원의 최적활용기술 개발연구: 지반개량재로써 활용기술을 중심으로, pp. 3-4.
  2. 오재현, 오성원 (1999), 우리나라 석탄회의 이용현황, 자원리싸이클링, 제8권 제1호, pp. 60-65.
  3. 이용수 (2002), 폐석탄회를 재활용한 저강도 고유동 충전재의 특성,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pp. 22-23.
  4. 채광석, 이훈연, 윤여원, 김근수 (2007), 경량성토재로서 매립 석탄회의 활용을 위한 기초연구, 2007년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814-817.
  5. 천병식, 김양선 (1989), 화력발전소에서 부산되는 석탄회의 활용에 관한 실험적 연구: 도로포장재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산업과학연구소, pp. 7-10.
  6. 한국남동발전 (2005), 매립석탄회 재활용 기술개발, 삼천포화력본부, pp. 20-30.
  7. 한국전력공사 (1992), 성토재로서의 석탄회 이용방안 연구, p. 462
  8. 환경부(2006), 자원의절약과재활용촉진에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1, 환경부령 제211호.
  9. Bjerrum, L. and Landva, A. (1966), Direct simple shear tests on a Norwegian quick clay, Geotechnique, Vol. 16, No. 1, pp. 1-20. https://doi.org/10.1680/geot.1966.16.1.1
  10. Seed, H. B. and Lee, K. L. (1967), Drained strength characteristics of sands, Journal of the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s Division, ASCE, Vol. 93, No. 6, pp. 117-141.
  11. Vaid, Y. P. and Sivathayalan, S. (1996), Static and Cyclic Liquefaction Potential of Fraser Delta Sand in Simple Shear and Triaxial Tests, Journal of Canadian Geotechnical Engineering, Vol. 33, pp. 281-289. https://doi.org/10.1139/t96-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