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mage Perception of Men's Casual Wear Using Photograph and Computer Simulation Picture

실물사진과 컴퓨터그림에 의한 남성 캐주얼웨어 이미지 지각 연구

  • Kang, Seung-H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Sungshin Women's University) ;
  • Lee, Myoung-H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Sungshin Women's University)
  • 강승희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 이명희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Published : 2009.01.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types and the colors of men's casual wear, hairstyles, and the methods of stimulus manufacture on men's image perception. The subjects were 360 women from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The clothing types used for the study were a sweater and a jumper(casual jacket) with jean pants. The clothing colors were beige, indigo, and red. Two hairstyles, the short and the medium length hairs, were compared. Two types of stimuli, the photograph and the computer simulation picture,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disclosed five dimensions on men's image: neatness, individuality, ability, activity, and sociability. In general, the photograph stimuli were evaluated more positively in activity, individuality, and sociability than the picture stimuli. The sweaters were perceived higher in ability, activity, and sociability than the jumpers. The Indigo color was evaluated as neat. The medium length hairstyles were perceived as neat and the short hairstyles were perceived as sociable. The jumpers were evaluated lower in individuality in the picture stimuli than in the photograph stimuli. The beige and indigo colors were evaluated to be neater in the picture stimuli than in the photograph. When using the picture stimuli, the men's image wearing the sweaters with the medium length hairstyles were evaluated lower in individuality. When using the photograph stimuli, the men's image wearing the sweater with the short hairstyles were evaluated higher in activity. Men's image wearing the indigo jumper and the beige sweater with medium length hairs were evaluated as high in neatness.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자, 정복남, 문주영. (2007). 유채색과 무채색 배색이 한복착용자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12(3),496−509
  2. 강혜원. (1995). 의상사회심리학. 서울: 교문사
  3. 강혜원, 이주현. (1990). 사회적 상호작용에서의 의복의 의미(제1보)-한복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회지, 14(1), 31−43
  4. 김영인, 한소원. (2000). 한국 성인 남녀 선호의복의 색채와 색채이미지. 한국색채학회지, 14, 47−54
  5. 김재숙. (1991). 의복범주, 유행성 및 착용자 연령의 인상효과에 대한 연구: 여성 노인의 의생활 양식과 관련지어.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6. 김재숙, 류지원. (2004). 헤어길이와 헤어컬러가 남성의 패션이미지에 미치는 상호작용효과. 한국의류학회지, 28(9/10),1320−1328
  7. 김현지. (2003). 남성 선거 입후보자의 옷차림이 유권자들의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남미우. (1992). 상황, 의복단서 및 관찰자변인이 남자 착용자의 인상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남미우, 강혜원. (1994). 상황, 의복단서 및 관찰자의 연령이 남자 의복착용자의 인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18(3), 311−326
  10. 남성들의 외모 가꾸기에 대한 조사. (2006, 1. 27). 엠브레인. 자료검색일 2006, 6. 3, 자료출처 http://www.embrain.com
  11. 노지영. (2001). 직장 남성의 이미지 컨설팅을 위한 측정도구개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류지은. (2001). 여성의 의복스타일이 첫인상 형성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박순천, 이순홍. (2003). 체형에 적합한 시각효과를 위한 중년남성 정장디자인 (제2보). 한국의류학회지, 27(11), 1260−1269
  14. 박혜원. (2006). 패션디자인 분석 시스템(Web-SFAS)활용 국내 남성 스트리트 패션 조사 분석-2005년 S/S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0(11), 1519−1530
  15. 배혜진, 정인희. (2006). 남자 대학생의 의복착용상황별 추구이미지와 패션상품통일체. 한국의류학회지, 30(7), 1135−1145
  16. 송선옥, 이인자. (2001). 남자의 인상에 미치는 의복유형, 얼굴형 및 체형의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2), 369−378
  17. 신소진. (1994). 신체노출을 달리한 남성 캐주얼 복장에 대한 남·녀 대학생의 인상형성.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윤소영. (2001). 메이크업과 헤어스타일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이명희, 홍선옥. (2004).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의복색 이미지 평가.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6(3), 55−66
  20. 이선경. (1993). 남성복 유형과 얼굴 매력성이 직업특성 및 인상추론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이은미. (1992). 남성 정장착용자의 연령 및 의복단서가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2. 이정교. (2000). 의사가운의 형태 및 색상과 관찰자 특성이 착용자의 인상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이향미, 김재숙. (1998). 남자 고등학교 교사의 인상형성에 미치는 의복격식차림, 색 및 매락의 영향-대전지역 남·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2(3), 312−320
  24. 임남영, 강승희. (2003). 의복유형과 헤어스타일이 남성의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11(3), 340−351
  25. 임지영. (1996). 넥타이 무늬와 양복과의 배색에 따른 남성복 이미지의 시각적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제기연, 이경희. (2006). 남성 판매사원의 정장스타일에 대한 시각적 평가. 한국의류학회지, 30(5), 762−771
  27. 주소현, 이경희. (1999). 의복, 배경의 조합에 따른 시각적 이미지 연구 (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3(1), 78−89
  28. 하경연, 이명희. (2008). 색채와 질감에 따른 남성 헤어스타일 이미지 연구. 복식문화연구, 16(2), 293−304
  29. 황미선. (2004). 남녀 대학생의 캠퍼스웨어 이미지 평가와선호도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황진숙, 나영주. (1999). 남자 대학생의 신체만족도와 의복 이미지 선호의 관계 연구. 복식, 49, 65−72
  31. Bell, E. L. (1991). Adult's perception of male garment style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0(1), 8−12 https://doi.org/10.1177/0887302X9101000102
  32. Chambers, B. G. (1965). Color and design. New York: Prentice-Hall
  33. Francis, S. K. & Evans, P. K. (1988). Effect of hue, value, and garment style on college recruiters' assessments of employment potential. Perceptual and Motor Skills, 67, 87−98 https://doi.org/10.2466/pms.1988.67.1.87
  34. Molloy, J. T. (1978). Dress for success. New York: Warner Books
  35. Paek, S. L. (1986). Effect of garment style on the perception personal traits. Clothing & Textiles Research Journal, 5(1), 10-16 https://doi.org/10.1177/0887302X8600500102
  36. Peterson, D. & Curran, J. P. (1976). Trait attribution as a function of hair length and correlates of subjects preference for hair style. Journal of Psychology, 93(2), 331−339 https://doi.org/10.1080/00223980.1976.9915829
  37. Radeloff, D. J. (1991). Psychological types, color attributes, and color preferences of clothing, textiles, and design student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9(3), 59−67 https://doi.org/10.1177/0887302X9100900309
  38. Sebastian, R. J. & Bristow, D. (2008). Formal or informal? The impact of style of dress and forms of address on business students' perceptions of professors. Journal of Education for Business, 83(4), 196−201 https://doi.org/10.3200/JOEB.83.4.196-201
  39. Vrij, A. (1997). Wearing black clothes: The impact of offenders'and suspects' clothing on impression formation. Applied Cognitive Psychology, 11, 47−53 https://doi.org/10.1002/(SICI)1099-0720(199702)11:1<47::AID-ACP421>3.0.CO;2-H

Cited by

  1. Male/Female Adult Workers' Sensible Reposes to Male Image Formation Effects according to Shapes of Beards vol.13, pp.1, 2015, https://doi.org/10.14400/JDC.2015.13.1.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