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a Translator for Automatic Generation of Ubiquitous Metaservice Ontology

유비쿼터스 메타서비스 온톨로지 자동 생성을 위한 번역기 개발

  • 이미연 (이화여자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공학과) ;
  • 이정원 (아주대학교 정보통신대학 전자공학부) ;
  • 박승수 (이화여자대학교 공과대학 컴퓨터공학) ;
  • 조위덕 (아주대학교 정보통신대학 전자공학부)
  • Published : 2009.01.31

Abstract

To provide dynamic services for users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by considering context in real-time, in our previous work we proposed Metaservice concept, the description specification and the process for building a Metaservice library. However, our previous process generates separated models - UML, OWL, OWL-S based models - from each step, so it did not provide the established method for translation between models. Moreover, it premises aid of experts in various ontology languages, ontology editing tools and the proposed Metaservice specification. In this paper, we design the translation process from domain ontology in OWL to Metaservice Library in OWL-S and develop a visual tool in order to enable non-experts to generate consistent models and to construct a Metaservice library. The purpose of the Metaservice Library translation process is to maintain consistency in all models and to automatically generate OWL-S code for Metaservice library by integrating existing OWL model and Metaservice model.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간의 상황을 고려한 동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전 연구를 통해 메타서비스 개념과 기술 규격, 메타서비스 라이브러리 구축 방법을 제안한 바 있다. 하지만, 제안한 프로세스는 각 단계에서 UML, OWL, OWL-S 기반의 분리된 모델을 생성하게 되고 모델간의 변환을 위한 일정한 체계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다양한 온톨로지 언어와 온톨로지 편집 도구들, 제안한 메타서비스 규격에 대한 전문가의 개입을 전제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전문가도 일관된 모델을 생성하고 메타서비스 라이브러리를 구축할 수 있도록 OWL 형식의 도메인 온톨로지에서 OWL-S 형식의 메타서비스 라이브러리로의 자동 변환 프로세스를 설계하고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시각 도구를 개발한다. 메타서비스 라이브러리 변환 프로세스는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기존의 OWL 모델과 메타서비스모델을 조합하여 메타서비스 라이브러리에 대한 OWL-S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M. Weiser, "The Computer for the 21st Century," Scientific American, pp. 94-104, Sept. 1991.
  2. M. Satyanarayanan, "Pervasive Computing: Vision and Challenges," IEEE Personal Communications, pp. 10-17, Aug. 2001.
  3. 정헌만, 이정현,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의 상황 인식을 위한 확률 확장 온톨로지 모델,"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11권, 제3호, 239-248쪽, 2006년 7월.
  4. 이기영, 김동오,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의 위치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설계,"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115-121쪽, 2007년 12월.
  5. M. Lee, S. Park and J. Lee, "Ontology-based Service Layering for Facilitating Alternative Service Discovery," In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biquitous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ICUIMC 2008), pp. 482-487, Jan. 2008.
  6. 이미연, 이정원, 박승수, 조위덕,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온톨로지 기반의 서비스 기술 및 오버로딩 기법," 정보처리학회논문지 B, 제15-B권 제5호, 465-476쪽, 2008년 10월.
  7. D. L. McGuinness, and F. van Harmelen, "OWL Web Ontology Language Overview," W3C Member Submission, Feb. 2004.
  8. D. Martin, et al., "OWL-S: Semantic Markup for Web Services," W3C Member Submission, Nov. 2004.
  9. J.T.E. Timm and G.C. Gannod, "A Model-Driven Approach for Specifying Semantic Web Services," In Proceedings of the 3rd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eb Services (ICWS2005), July 2005.
  10. D. Gasevic. D. Djuric, V. Devedzic, and V. Damjanovic, "From UML to Ready-To-Use OWL Ontologies,", 2nd I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Systems, June 2004.
  11. J. Miller and J. Mukerji, "MDA Guide Version 1.0.1," OMG Specifications, June 2003.
  12. EMF (Eclipse Modeling Framework), http://www.ecipse.org/modeling/emf/
  13. GMF (Graphical Modeling Framework), http://www.eclipse.org/modeling/gmf/
  14. GEF (Graphical Editing Framework), http://www.eclipse.org/gef/
  15. K. Kang, "Community Computing White Paper," Ajou University, Center of Excellence for Ubiquitous System, Published as CUS Technical Report, Mar. 2006.
  16. 이용주, "시멘틱 e-워크플로우 프로세스를 이용한 동적 웹 서비스 조합,"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10권, 제1호, 101-112쪽, 2005년 3월.
  17. M. Kay, "XSL Transformation (XSLT) Version 2.0," W3C Recommendation, Jan.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