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Heavy metal contamination levels in Andong reservoir and Imha reservoir were measured with heavy metal contents in both water and sediment, and analyzed with heavy metal accumulation level in inhabitant fish, Carassius auratus, using an inductively coupled plasma spectrometer and an atomic absorption spectrometer. High levels of heavy metal contents in water, sediment and the tissues of C. auratus were detected. Likewise, relatively high levels of As were detected in water and sediment from Andong reservoir. In addition, higher levels of Cr, Cu, Cd and As content were detected in muscle and bone tissues of fish from Andong reservoir than those from Imha reservoir. As a result, the heavy metal content of water, sediment and inhabitant fish, C. auratus, in Andong reservoir was higher than Imha reservoir. We proposed that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water and inhabitant fish is attributed to various metals derived from abandoned mines and farmlands that are upstream of Andong reservoir.
안동호와 임하호의 수환경내 중금속의 오염정도와 서식 어종간의 중금속 축적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양호수의 수질, 저니 및 서식어종인 붕어를 이용하여 중금속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안동호와 임하호 수질과 저니내 중금속 함량은 안동호에서 높은 함량을 보이며, As는 함량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안동호와 임하호에 서식하는 붕어의 중금속 함량의 경우 안동호에 서식하는 붕어에서 높은 함량을 보이며, Cr, Cu, Cd 및 As는 함량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늘, 근육, 뼈 조직은 안동호와 임하호의 함량차이가 크며, 안동호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 안동호와 임하호의 수질과 저니 및 서식어종인 붕어의 중금속 함량은 안동호에서 임하호보다 중금속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안동호와 임하호의 함량차이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안동호의 경우 안동호 상류 지점의 폐광산과 농경지로부터 하상퇴적물이 유입되어 하상퇴적물 속에 포함된 유기물을 붕어가 먹이로 섭취함으로써 중금속 함량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