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강유역의 다목적댐 운영에 따른 빈도홍수량의 평가

Assessment of Probability Flood according to the Flow Regulation by Multi-purpose Dams in Han-River Basin

  • 김남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본부 수자원연구실) ;
  • 이정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본부 수자원연구실)
  • Kim, Nam-Won (Water Resources Research Division, Water Resources & Environment Research Department,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 Lee, Jeong-Eun (Water Resources Research Division, Water Resources & Environment Research Department,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발행 : 2009.02.28

초록

본 연구에서는 팔당댐 지점을 중심으로 상류에 위치하고 있는 소양강, 충주 다목적댐 운영에 따른 빈도홍수량의 거동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동일기간의 댐운영 여부에 따른 두 계열(조절유량, 비조절 유량)의 홍수량 자료를 합리적으로 획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홍수량 산정을 위해서는 단기 강우-유출모형을 이용해야 하지만, 계산의 어려움과 유역의 비선형으로 인해 그 결과를 증명하기 매우 어려운 현실이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유역면적이 클수록 일유량과 홍수량의 관계가 비교적 일정한 경향을 보인다는 점에 착안하여, 장기유출모형인 SWAT-K를 이용하여 댐운영 여부에 따른 두 계열의 일유량을 모의하였다. 일유량과 홍수량의 상관관계로 모의된 일유량을 홍수량으로 유도한 후, 댐운영 여부에 따른 빈도홍수량의 변화특성을 파악하였다. 홍수빈도분석을 위해 사용된 분포는 Extreme Type-I이며, 매개변수 추정은 L-moment 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소양강, 충주 두 다목적댐 운영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 대한 팔당댐 지점에서의 100년 빈도홍수량에 비하여, 소양강댐, 충주댐, 소양강과 충주댐의 운영유무에 따른 3가지 시나리오에 대한 빈도홍수량은 각각 91, 83, 71 % 규모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유역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은 유역에서 댐운영 여부에 따른 빈도홍수량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새로운 시도였다. 이는 일유량 자료의 이용 및 분석에 있어 이수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치수적인 측면에서의 활용성을 높일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variation of probability flood according to the flow regulation by multi-purpose dams (Soyang and Chungju) in the Han-river basin, Korea. SWAT-K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Korea) was used in order to generate regulated and unregulated daily streamflows upstream of Paldang dam. Simulated flow regulated by the Soyang and Chungju dams was calibrated by comparison with the observed inflow data at Paldang reservoir. Generally the ratio of flood flows to daily streamflows is known to decrease with drainage area in a watershed. Regulated and unregulated flood flows were obtain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flood flows and daily streamflows. Extreme Type-I distribution was applied for flood frequency analysis and L-moment method was used for parameter estimation. This is a novel approach capable of understanding the variation in flood frequency with dam operation for the relatively large watershed scale, and this will helps improve the applicability of daily stream flow data for use in flood control as well as in water utiliz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 (1997). 기존댐 용수공급능력조사(한강수계) 보고서, 한국수자원공사
  2. 과학기술부 (2004). 지표수 수문성분 해석기술 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3. 과학기술부 (2007). 지표수 수문성분 해석시스템 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4. 김남원, 원유승 (2004). “우리나라의 빈도홍수량 추정.”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12호, pp. 1019-1032
  5. 김남원, 이정우, 이병주, 이정은 (2007). “비선형 저류방정식을 이용한 일 단위 하도추적법.”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권, 제5B호, pp. 533-542
  6. 김남원, 이정은, 이병주 (2007). “한강유역의 다목적댐 운영에 따른 유황변동 특성 분석 및 평가.”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권, 제1B호, pp. 53-63
  7. 김남원, 최한규 (1996). “홍수 빈도분석상 일 유량자료 이용과 유용성.” 한국수자원학회 1996년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250-255
  8. 원석연, 윤용남 (1993). “홍수사상별 일평균유량 자료로부터의 첨두홍수량 산정.”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제26권, 제2호, pp. 59-65
  9. 윤용남, 원석연 (1998). “한강 인도교 지점의 계획홍수량 산정을 위한 지점빈도해석.”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1권, 제4호, pp. 469-481
  10. 이승재, 서규우, 허준행, 조원철 (1995). “한강 고안지점의 홍수위 환산과 홍수 빈도해석.” 한국수자원학회지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28권, 제5호, pp. 191-204
  11. Fuller, W. E. (1914). “Flood flows.” Trans. Am. Soc. Civ. Eng., Vol. 77, pp. 564-617
  12. Hosking, J. R. M. (1990). “L-moment: Analysis and estimation of distribution using linear combination of order statistics.” Journal of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B. 52, pp. 105-124
  13. Kim, N. W. and J. Lee (2008). “Temporally weighted average curve number method for daily runoff simulation.” Hydrological Processes, Vol. 22, pp. 4936-4948 https://doi.org/10.1002/hyp.7116
  14. Nicola Montaldo, Marco Mancini and Renzo Rosso (2004). “Flood hydrograph attenuation induced by a reservoir system: analysis with a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Hydrological processes, Vol. 18, pp. 545-563 https://doi.org/10.1002/hyp.1337
  15. Peters, D. L. and T. D. Prowse (2001). “Regulation effects on the lower Peace River, Canada.” Hydrological processes, Vol. 15, pp. 3181-3194 https://doi.org/10.1002/hyp.321
  16. Smakhtin, V. Y. (1999). “Generation of natural daily flow time-series in regulated rivers using a non-linear spatial interpolation technique.” Regulated Rivers: Research & Management, Vol. 15, pp. 311-323 https://doi.org/10.1002/(SICI)1099-1646(199907/08)15:4<311::AID-RRR544>3.0.CO;2-W

피인용 문헌

  1. A Study on Design Flood Analysis Using Moving Storms vol.43, pp.2, 2010, https://doi.org/10.3741/JKWRA.2010.43.2.167
  2. The Characteristics of Runoff for Hwacheon dam watershed vol.42, pp.12, 2009, https://doi.org/10.3741/JKWRA.2009.42.12.1069
  3. Inference of natural flood frequency for the region affected by dams in Nam Han River vol.49, pp.7, 2016, https://doi.org/10.3741/JKWRA.2016.49.7.5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