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Training for Basic Life Support on the Knowledge and Skills of the Nursing College Students

기본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지식과 수기에 미치는 효과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is study,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training for basic life support on the knowledge and skills of the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subject were 16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trained with simulation-based and 17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who trained with traditional education methods among second grade of D college in D city. Data was collected from 24th August to 1st September 2009.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isher's exact,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 and ANCOVA using SPSS/PC 12.0 win.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ly, BLS knowledge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n'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he control group(F=.568, p=.573), Secondly, BLS skill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he control group(F=19.407, p=.000).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imulation-based training for basic life support improved the competence on basic life support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refore, the result suggested that nursing department professor applicate simulation-based training to improve nursing college student's ability to perform basic life support.

본 연구는 기본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지식과 수기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D시에 소재한 D대학 간호과에 재학 중인 2학년으로 실험군 16명, 대조군 17명으로 구성하였으며 실험군은 시뮬레이션 교육을 제공받은 군이며, 대조군은 전통적인 교육을 제공받은 군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09년 8월 24일부터 9월 1일까지였다. 자료 분석은 SPSS/PC 12.0 win을 사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Fisher's exact,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 ANCOVA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뮬레이션 교육을 받은 실험군과 전통적 교육을 받은 대조군의 기본소생술 지식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568, p=.573). 둘째, 시뮬레이션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전통적 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기본소생술 수기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F=19.407, p=.000). 이상의 결과를 볼 때, 기본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은 간호대학생의 기본소생술 수행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간호학 교수들은 본 연구에서 활용된 효율적인 시뮬레이션 교육을 간호대학생의 기본소생술 수행능력 향상에 적극 활용할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2007년 사망 및 사망원인 통계결과", www.nso.go.kr, 2008.
  2. 김은숙, 김광환, 조영채, "일부 건강검진 수검자들의 관상동맥질환 위험인자의 군집별 유병률",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0권, 제3호, pp. 625-633, 2009. https://doi.org/10.5762/KAIS.2009.10.3.625
  3. 유동균, 이소영, 이태용, 이은희, "일부 농촌지역 주민들의 부부간 고혈압 위험요인의 일치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0권, 제3호, pp. 634-641, 2009. https://doi.org/10.5762/KAIS.2009.10.3.634
  4. 최혜경, "심폐소생술 교육과정 표준화를 위한 연구", 한국응급구조학회 논문집, 제7권, 제1호, pp. 29-42, 2003.
  5. 황성오, 임경수, "심폐소생술과 전문심장구조술", 군자출판사, 2006.
  6. Thomas R. G., Hallstrom A. P., Cobb L. A., "Bystander-initiat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the management of ventricular fibrillation", Ann Tntern Med, 90, p. 737, 1979. https://doi.org/10.7326/0003-4819-90-5-737
  7. 강병우, "병원 외 심정지환자의 생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8. O'steen D. S., Kee C. C., Minick M. P., "The retention of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knowledge among registered nurses", Journal of Nursing Staff Development, 12(2), pp. 66-72, 1996.
  9. Shepherd A., "Resuscitation training", Postgraduate medical journal, 71(833), pp. 143-145, 1995. https://doi.org/10.1136/pgmj.71.833.143
  10. Eisenburger P., Safar P., "Life supporting first aid training of the public-review and recommendations", Resuscitation, 41(1), pp. 3-18, 1999. https://doi.org/10.1016/S0300-9572(99)00034-9
  11. Abella B. S., et al., "Quality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uring in-hospital cardiac arrest", JAMA, 293(3), pp. 305-310, 2005. https://doi.org/10.1001/jama.293.3.305
  12. 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ealth Care Organization, "Accreditation manual for hospital", Chicago, 1989.
  13. Hamilton R., "Nurses' knowledge and skill retention follow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1(3), pp. 288-297, 2004.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5.03491.x
  14. Carter W. B., Eisenberg M. S., Hallstrom A. P., Schaeffer S.,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mergency CPR instruction via telephone", Ann Emerg Med, 13(1), pp. 695-700, 1984. https://doi.org/10.1016/S0196-0644(84)80730-1
  15. Monhan T., "Simulation workshop in changi general hospital", leardal, pp. 8-9, 2002.
  16. 민진홍, "의과대학생들의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에서 전통적인 마네킹과 술기평가 기록지 내장 마네킹간의 효과 비교",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7. 안재윤, "기본심폐소생술을 통한 조기 임상 술기 교육의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8.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2nd ed.)", Hillsdale, NJ. Lawrence Associates, 1988.
  19. Issenberg S. B., Pringle S., Harden, R. M., Khogali S., Gordon M. S., "Adoption and integration of simulation-based learning technologies into the curriculum of a UK undergraduate education program", Medical Education, 37(suppl1), pp. 42-49, 2003. https://doi.org/10.1046/j.1365-2923.37.s1.10.x
  20. 유은영, "의료 시뮬레이션" 의학강좌, 제12권, pp. 267-276, 2005.
  21. 한정석, 고일선, 강규숙, 송인자, 문성미, 김선희, " 간호학생에게 실시한 심폐소생술 교육의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제6권, 제3호, pp. 493-506, 1999.
  22. 백지윤,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사의 전문심장소생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3. Wadas T. M., "Role rehearsal: A mock code program", Dimensions of Critical care Nursing, 18(6), pp. 36-39, 1999. https://doi.org/10.1097/00003465-199911000-00006
  24. Bond W. F., Kostenbader M., McCarthy J. F., "Prehospital-based health care provider's experience with a human patient simulator", Prhosp Emerg Care, 5, pp. 284-287, 2001. https://doi.org/10.1080/10903120190939805
  25. Granneman S., Conn V. S., "An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competency-cased code blue education", Journal of Nursing Staff Development, 12(6), pp. 283-288, 1996.
  26. 고종현, "시뮬레이션 교육이 보건계열 학생의 기본 소생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Cited by

  1. Effects of the Use of High-Fidelity Human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A Meta-Analysis vol.54, pp.9, 2015, https://doi.org/10.3928/01484834-2015081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