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계선형모형을 이용한 인적자본의 외부효과 분석

An Analysis on Human Capital Externalities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

  • 박정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 이희연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Park, Jung-Ho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Hee-Yeo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9.12.31

초록

지식기반사회로 진전됨에 따라 경제성장의 원동력으로서 인적자본(human capital)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인적자본의 외부효과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근로자의 임금에 영향을 주는 결정요인을 개인 수준, 기업 수준, 지역 수준별로 위계선형모형을 구축하여 인적자본의 외부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지식확산의 강도가 학력그룹별로 다를 것이라는 가설 하에서 고학력자 그룹과 저학력자 그룹의 인적자본의 외부효과를 비교하였다. 3단계 위계선형모형 추정 결과 지역의 평균 교육수준이 1년 증가할 때 근로자의 평균 임금이 4.4%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나, 인적자본의 외부효과가 있음을 말해준다. 이러한 인적자본의 외부효과는 학력수준 집단별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력수준을 고졸 이하와 전문 일반대 졸업, 그리고 석 박사 졸업으로 그룹화하여 인적자본의 외부효과를 산출한 결과 각각 3.0%, 4.7%, 11.8%로 나타나, 고학력으로 갈수록 인적자본의 외부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이 학력 수준별 인적자본의 외부효과가 상이하게 나타나며, 고학력으로 갈수록 외부효과가 더 커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지방의 경쟁력을 살리기 위해서는 인적자본의 외부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In the knowledge-based economy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human capital,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human capital externalities as a fundamental engine of growth and development of a reg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uman capital externalities using 3-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3-HLM), decomposing determinants of wages into three levels involving workers(level-1) nested within firms(level-2) nested within regions(level-3). This study separately estimates the effect of the average education level on the wages by three different schooling groups on the assumption that the intensity of knowledge spillovers varies with each group's schooling level.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efficient of the average education level of a region shows 0.044, indicating that one-year increase in the average level of schooling could increase average individual earnings by 4.4%. Secondly, the external effects of human capital on three different schooling groups are considerably different, raising less than high school graduates' wages by 3.0%, college graduates' wages by 4.7%, and graduate schools' wages by 11.8%, respectively. Thirdly, well educated workers are much more sensitive to the variation of the regional education level than less educated ones when we apply the shares of each schooling group as alternative measures for the average level of education. Such findings of this study draw an implication that local governments could speed up regional economic growth in the knowledge-based economy by not only raising total human capital stock in a region but building the close networks that promote productivity-enhancing human capital external effec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