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tents development of Sokakgasa in Three Kingdom Period

삼국시대 속악가사(俗樂歌詞)의 문화콘텐츠화 방안 연구

  • Received : 2008.07.29
  • Accepted : 2008.11.25
  • Published : 2008.12.30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develop various cultural contents from Sam-guk Sokakgasa(korean folksongs in ancient times) through analyzing features of it with narrative structures and discourse forms of Seymour Chatman. Rhythms and rhymes of the Sam-guk Sokakgasa hardly exist, only brief stories about the origins of songs are present. However, with interactions of current cultual contents, a brandnew cultural content can be developed from Sam-guk Sokakgasa through creative modification. In this view, narrative structures of Sam-guk Sokakgasa was analyzed using Seymour Chatman's method. Through this analysis, it can be concluded that Sam-guk Sokakgasa has complete narrative structures, thus can be developed into new cultural contents by media interaction. And it can be also said that in cases which Sam-guk Sokakgasa has weak narrative structure, if its narrative structure has enough universality, it also can be developed as cultural contents.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원형성, 창조성, 차별성, 상호작용성을 사이무어 체트먼(Seymour Chatman)의 서사구조와 담론의 형식에 적용하여 삼국시대 속악가사를 문화콘텐츠화 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삼국시대의 속악가사는 현재 노래나 가사가 전하는 것은 거의 없고 대부분 그 유래에 대한 간단한 기록만이 전하고 있지만 오늘날 다양한 문화콘텐츠간의 상호작용성 속에서 독창적인 창조적 변형에 의해 새로운 문화콘텐츠로 개발이 가능하다. 대중적인 문화콘텐츠라고 할 수 있는 소설 공연 영화 콘텐츠의 공통적인 속성은 모두 기본적으로 서사구조를 바탕으로 스토리텔링을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화콘텐츠의 속성에 맞게 삼국시대 속악가사를 문화콘텐츠화하기 위해서 먼저 체트먼의 서사구조와 담론의 형식을 채택하여 속악가사의 서사구조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삼국시대 속악가사들 속에 문호콘텐츠 매체간의 상호작용성의 요소를 분석하였는데, 완결된 서사구조를 갖춘 작품들이 매체적 상호작용에 의해서 새로운 문화콘텐츠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았다. 하지만 서사구조가 빈약하더라도 그것이 갖고 있는 보편성이 높다면 충분히 문화콘텐츠화할 수 있다는 것도 알았다. 특히 사례분석으로 제시된 백제 속악가사 <정읍>은 오늘날 음악 공연컨텐츠로 개발되었으나 본래의 작품이 갖고 있는 원형성을 전승하되 새로운 매체의 속성에 맞게 재창조함으로서 충분히 문화콘텐츠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해주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의 특성을 체트먼의 서사구조와 담론의 형식에 적용하여 연구하는 시론적 단계의 연구로서 문화콘텐츠에 대한 새로운 분석방법론으로 자리매김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