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무늬종 문수조릿대와 무늬털대사초의 광도차에 따른 생육 및 엽색변화

Effect of Different Shading on the Growth and Leaf Color of Variegated Arundinaria munsuensis and Carex ciliato-marginata for. variegata.

  • 김현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원예학과 대학원) ;
  • 주나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원예학과 대학원) ;
  • 이종석 (서울여자대학교 지연과학대학 환경생명과학부)
  • Kim, Hyun Jin (Dept. of Horticultural Science, Seoul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
  • Joo, Na Ri (Dept. of Horticultural Science, Seoul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
  • Lee, Jong Suk (Division of Environment & Life Science, College of Natural Science, Seoul Women's University)
  • 투고 : 2008.11.25
  • 심사 : 2008.12.24
  • 발행 : 2008.12.31

초록

자생 잎무늬종 식물인 문수조릿대와 무늬털대사초에 있어서 광도차에 따른 생육과 생리적 변화 그리고 엽색의 변화를 알아보고 이들의 관상가치 증진에 알맞은 광도를 구명하고자 40%, 70%, 85% 차광구조건과 0%인 노지조건에서 4개월동안 실시한 실험결괴는 다음과 같다. 무늬종 문수조릿대(Arundinaria munsuensis)는 광도가 낮아질수록 초장과 잎의 크기가 증가되었고 차광 85% 조건에서 광합성효율이 높은 것으로 미루어 보아, 음지조건에서도 생육이 잘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40% 차광구($1500{\mu}mol{\cdot}m^{-2}{\cdot}s^{-1}$)에서 가장 아름다운 엽색이 발현되었으며 생육이 양호하여 관상가치가 높았다. 무늬털대사초(Carex ciliato-marginata for. variegata)는 40% 차광조건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으며 차광수준이 높아질수록 생리활성변화는 높았다. 그러나 무차광 상태와 85% 차광조건에서는 관상가치가 저하되었고, 노랑색의 잎무늬를 가진 무늬털대사초는 40% 차광에서 녹색과 연노랑(RHS 146B, strong greenish yellow)색의 무늬 발현이 가장 좋았다.

In order to elucidate growth characteristics, physiological responses and leaf color changes of leaf-variegated Arundinaria munsuensis and Carex ciliato-marginata for variegata, These experiments were performed under four different light ragimes control(full sun), 40%, 70% and 85%. Plant height and leaf area became promoted as shading level increases in leaf-variegated Arundinaria munsuensis. Photosynthetic effect was the highest in 85% shading of the full sun. Thus, this plant could be growing in the deep shade condition. Plant growth and the leaf color changes were most obviously shown in the 40% shading level. In the Carex ciliatomarginata for. variegata growth status was the best and green or strong greenish yellow leaf color turned out to be much clearer in the 40% shading treatment. And photosynthetic activity was enhanced as the light intensity decreas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