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on the Soul & Body Thought of 'Dong-Jin Northern & Southern Dynasty'

동진남북조시기(東晉南北朝時期) 형신문제(形神問題)의 초보적(初步的) 탐구(探究)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The specific concern of 'Xing'(形) & 'Shen'(神) theory is considering the body and the soul of human being. If either of the body and the soul including the life of human as of basic items is not existed, it may not seem to be alive. A great number of philosophers during 'Dong-Jin Northern & Southern Dynasty'(東晉南北朝) had the most active and furthest discussion throughout the history of China to study the concerns; Having a question such as "Where the body and the soul come out around us?", "What is the essence of complicated and delicate mental operation?" "Are there any relationships between the body and the soul?" and then "How do the human soul exist after death?" First, during 'Don-Jin' period as body and soul theory was based on 'Yin'(陰) and 'Yang'(陽). 'He Cheng Tian'(何承天) said that everything which was burn on earth should die because the soul couldn't stay the dead body longer. In the same age, 'Ming Fo Run'(明佛論) and 'Da Xing Run'(達性論) which denied that the soul couldn't exist forever were main topics of the discuss among the distinguished philosophers. Next, during 'Northern & Southern dynasty', body and soul theory was divided into two. First of all, body and soul of 'Heng Cun'(恒存) might be harmonized, however, that was not perfectly put together. Because, after human death, even if the body of human might be existed, the soul left elsewhere but always stayed around us. The body was the soul which meant that the soul was to the nature of the body and the body was to the usage of soul. Many philosophers insisted that nobody meant no soul according to 'Shen Bu Mie Run'(神不滅論) and 'Shen Mie Run'(神滅論) which was the main topic as an academic argument in those days. Finally, during Dong-Jin dynasty covered the significance of Body and Soul theory and analyzed the influence into the history of the history philosophy in china.

형신사상(形神思想)의 핵심은 인간의 육체와 영혼에 관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형(形)과 신(神)은 인간의 생명을 구성하고 있는 두개의 요소로 만일 그 가운데 하나라도 없다면 그것은 살아있는 인간으로 볼 수가 없다. 동진남북조(東晉南北朝) 시기의 사상가들은 '우리들을 구성하고 있는 육체와 영혼이 과연 어떻게 나온 것일까?'라는 의문으로부터 시작하여 '복잡하고 미묘한 정신작용의 본질은 과연 무엇일까?' 그리고 '육체와 영혼은 도대체 어떠한 관계에 있는 것일까?' 또한 '인간이 죽은 뒤에도 그 영혼은 존재하는 것인가 혹은 소멸되는 것인가?' 등의 문제들에 대하여 활발하게 토론과 연구를 진행했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먼저, 동진(東晉) 시기의 형신사상(形神思想)에 대하여 종병(宗炳)의 영혼은 음양(陰陽)과 같은 것으로도 헤아려지지 않는 만물 속에 있는 현묘(玄妙)한 것으로서 무시(無始) 이래 정추(精?)의 식(識)으로 나뉘어 계속 존속하는 것이라고 하는 주장. 그리고 하승천(何承天)의 무엇이든 태어나면 죽는 것이며 육체가 없어지면 영혼이 흩어지는 것은 사계절이 계속 바뀌는 것과 같다고 하면서 영혼의 존속을 부정하는 주장들을 '명불론(明佛論)'과 '달성론(達性論)'을 중심으로 당시의 담론으로 형성되었던 '신멸(神滅)'과 '신불멸(神不滅)'의 문제를 집중 분석했다. 다음으로는 남북조(南北朝) 시기의 형신사상(形神思想)에 대하여 소침(蕭琛)의 육체와 영혼은 합하기는 하지만 일체가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태어나면 육체와 영혼이 합하여 기능이 생겨나지만 죽으면 육체는 남고 영혼은 떠나버리나 영혼은 항존(恒存)하는 것이라는 주장. 그리고 범진(范縝)의 육체가 영혼의 질(質)이라면 영혼은 육체의 용(用)이라고 하면서 육체가 없다면 영혼 또한 없는 것이니 육체 즉 영혼이라는 주장들을 '난신멸론(難神滅論)'과 '신멸론(神滅論)'을 중심으로 하여 당시 학술계의 화두였던 '신멸(神滅)'과 '신불멸(神不滅)'의 논쟁을 집중 분석했다. 끝으로는 동진남북조(東晉南北朝) 시기에 유행하였던 형신사상(形神思想)의 의의와 그것이 중국철학사 속에서 차지하는 지위와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고 조명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전남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