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eadership in Korean Confucianism and its Modern Characteristics : Chíjìng(持敬) to Zhìzhì(至治), the Leadership Wisdom

한국 유학의 리더십과 그 현대적 특징 - 지경(持敬)에서 지치(至治)로, 지혜의 리더십 -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The object of this essay is to apply the Leadership Theory, current interest in Asian Philosophy, to Korean appliance. This is to associate contemporary Leadership Theory with Chosun Confucianism in order to discover the Korean Leadership Prototype, and seek the possibility of applying it for modern usage. The essay uses two analysis models. The tools used for the methodology consists of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leader as one axis and ruling out the roles in order to develop the discussion as the other axis. First axis is the process of the leader setting the identity and strengthening the ability to successfully deploy his/her leadership. The second axis is comprised of four specific fields where the leadership is deployed. The four sectors are Self Sector, Relationship Sector, Team Sector and Community Sector. Core values of each sector have been set up and specific competences have been presented. In the Self Sector, $zh{\grave{i}}x{\bar{i}}n$(治心) and $ch{\acute{i}}j{\grave{i}}ng$(持敬) have been set as core values and $l{\grave{i}}zh{\grave{i}}$(立志) and $sh{\acute{i}}x{\bar{i}}n$(實心) as their competences. In the Relationship Sector and Team Sector, circumstances(時宜) and $sh{\acute{i}}sh{\grave{i}}g{\bar{e}}ngzh{\bar{a}}ng$(實事更張) were set as core values, accordingly. Lastly for the Community sector, the core value, 'Ideal Leader and the Visions of and Ideal Community', was conceptualized as '$m{\grave{ui}}m{\acute{i}}nzh{\grave{i}}zh{\grave{i}}$(牧民至治)'. The leadership is then expanded from the Self Sector to the final stage through its processes. Through this research, it can be found out that the Korean Leadership Model is not rigid to just cover a specific point in time or situation, but embraces many contemporary leadership concepts, thus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omprehensive leadership theory.

본 논문은 최근 동양철학분야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리더십이론의 한국적 적용을 그 목적으로 한다. 즉 현대 리더십이론을 조선시대 유학에 접목시켜 우리 고유의 한국형 리더십의 원형과 현실적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분석모델, 즉 리더의 개인적 특성과 역할을 규정하는 하나의 축과 리더십이 발휘되는 구체적 현장을 규정하는 하나의 축을 설정하여 논의를 전개하는 방법론적 도구로 사용하였다. 첫 번째 축은 리더십이 효과적으로 발휘되기 위해 필요한 리더의 모습, 즉 리더가 정체성을 확립하고 역량을 강화해나가는 과정이며, 두 번째 축은 개인영역(Self) - 관계영역(Relationship) - 조직영역(Team) - 사회영역(Community) 등 리더십이 발휘되는 4개의 구체적인 현장이다. 각 영역별로 리더십을 발휘하기 위한 핵심가치를 설정했으며, 그 핵심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역량들을 제시하였다. 먼저 개인영역에서는 치심(治心)과 지경(持敬)을 핵심가치로, 그리고 입지(立志)와 실심(實心)을 그 역량으로 한 셀프리더십을 다루고 있다. 그리고 관계영역과 조직영역에서는 각각 시의(時宜)와 실사경장(實事更張)이라는 핵심가치 및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행동 역량들을 제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영역에서는 '이상적 리더상과 이상사회의 비전'이라는 핵심가치를 '목민지치(牧民至治)'라는 개념으로 정의함으로써, 개인영역에서 점차 확대되어 리더십이 최종적으로 완성되는 과정을 한국 유학의 이론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서 한국형 리더십은 어느 한 시점이나 특정의 상황에서만 유용한 단발적인 리더십이 아니라 현대의 다양한 리더십이론을 포괄하는 종합적 리더십의 성격을 갖추고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