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가탑 출토 묵서지편의 석탑 부재 관련 용어 고찰

On the terminology for pagoda subsidiaries in the manuscripts excavated from Seokgatap pagoda

  • 투고 : 2008.09.05
  • 심사 : 2008.09.25
  • 발행 : 2008.09.30

초록

1966년 해체 수리된 경주 불국사의 석가탑에서는 여러 가지 사리장엄구와 묵서지편들이 출토되었는데, 이들은 한국 불교사 및 불교미술사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본고에서는 석가탑에서 출토된 묵서지편에 등장하는 여러 가지 석탑 부재 관련 용어들을 정리하고, 이러한 새로운 용어들의 의미를 현존하는 유물과 비교하여 파악해 보았다. 석가탑 묵서지편은 크게 (1)<무구정광탑중수기(無垢淨光塔重修記)(1024)>, (2)<서석탑중수형지기(西石塔重修形止記)(1038)>, (3)<불국사탑(佛國寺塔) 중수포시명공중승소명기(重修布施名公衆僧小名記)(1038)> 등 세 종류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중에서도 석탑 부재 관련 용어들은 무구정광탑중수기와 서석탑중수형지기에서 기록되어 있다. 무구정광탑중수기에는 앙연대(仰蓮臺), 화예(花?), 통주(筒柱), 절석(節石), 통석(筒石), 분복(盆覆) 등 10개의 석탑 부재 관련 용어가 등장하는데, 이들은 대부분 석탑 상륜부 부재의 명칭으로 추정된다. 한편, 서석탑중수형지기에는 두정석(斗頂石), 상층석(上層石), 통주(筒柱), 통주석(筒柱石), 하층금당석(下層金堂石), 초층금당대석(初層金堂臺石), 월개석(月蓋石), 지대(地臺) 등의 여러 용어가 등장하는데, 이들은 현재의 석가탑 석탑의 탑신 및 기단부 부재와 크기 및 위치가 대부분 일치하여 주목된다. 이러한 여러 가지 석탑 부재 관련 용어들은 고려시대 11세기 불교계에서 실제로 사용되었던 것이지만, 현대 학계에서 사용하는 용어들과는 큰 차이가 있다. 아직까지 묵서지편의 판독과 해석은 정확하지 않기 때문에, 앞으로 중국, 일본의 중세 문헌의 관련 용어 및 다양한 실물 자료와의 비교 연구를 통해서 보다 정확하게 판독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묵서지편에 등장하는 여러 가지 다양한 용어들의 분석을 통해서, 한국 불교사 및 불교 미술 연구가 한층 더 발전하기를 기대한다.

A Buddhist relic deposit was discovered from the three storied stone pagoda which was called as Seokgatap of Bulguksa temple in Gyeongju in 1966. In this relic deposit, several clumped papers written in ink which were found from the pagoda. These manuscripts are one of the most valuable materials for understanding Korean Buddhism and Buddhist Art History. In this paper, I examined several terms for pagoda subsidiaries found in these manuscripts, which have not been known to us up to recently. In addition, I compared these terms to the real pagodas or pagoda images in Korea. The manuscripts from Seokgatap pagdoa were composed of three different kinds of records; (1) "Record for the Repair of Mugujeonggwangtap Pagoda (無垢淨光塔重修記, 1024)"; (2)"Record for the Reconstruction of West Pagoda (西石塔重修形止記, 1038); (3)"Lists of Donor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Pagoda in Bulguksa temple (佛國寺塔重修布施名公衆僧小名記, 1038). The terminology describing pagoda was appeared in the first and the second records. In the "Record for the Repair of Mugujeonggwangtap Pagoda", there are more than ten terms, which are presumed to be the words describing some upper decorative parts of a stone pagoda. However, in the "Record for the Reconstruction of West Pagoda", there are fifteen terms which would describe the body and base parts of the Seokgatap pagoda. These new terms for pagoda subsidiaries appeared in the manuscripts of Seokgatap Pagoda are very significant materials in understanding Korean Buddhist Art, because they show the practical terms which were used in the eleventh century Buddhism of Korea, but never known to the modern academic world. The manuscripts of Seokgatap Pagoda have not been deciphered perfectly yet, so they have to be examined with more precise as well as with wider view of Buddist and Art Histor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