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san Park Moon Ho's Idea of Morality and Viewpoint of Social Situation

호산(壺山) 박문호(朴文鎬)의 윤리사상과 시국관

  • 지교헌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
  • 지준호 (서울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 Received : 2008.11.30
  • Accepted : 2008.12.20
  • Published : 2008.12.30

Abstract

Hosan Park Moon Ho lived in the truly eventful era with keen competition of western powers, invasion of Japan, Confucianism based Movement against Western Power, Volunteer Army Movement against Japanese and etc. Therefore, his learning and idea could not help being related with such difficult environment of his country. Especially, his idea is directly related with such historical environment of his era in terms of his claims as follow: He thought that Christianity destroyed Korean traditional idea and good customs; he claimed that the nation should subdue the betrayers who were at the Japanese side and be revenged on the murder of the empress Myeongseong; and he advocated his own theory for civilization that the nation should be strictly against the imperial invasion of western powers but work for GaeMulSeongMu(開物成務: Achieving Everything through Enlightenment on Meaning of Everything) and HwaMin SeongSok(化民成俗: Forming Beautiful Customs by Educating the People). The problem that should be urgently solved that time was, first of all, to repel the invasion of Japan and western powers and to realize Confucianism based political ideal by scheming political and social stability and saving the people's livelihood from distress through such repelling.

호산(壺山) 박문호(朴文鎬)는 서구열강의 각축전과 일제의 침략 그리고 척사위정운동과 항일의병운동 등 참으로 다사다난한 시기를 살았다. 따라서 그의 학문과 사상은 이러한 조국의 어려운 환경과 관계되지 않을 수 없었다. 특히 그의 사상 가운데, 서구의 기독교가 전통적인 사상과 미풍양속을 파괴하는 것으로 본 점, 일제에 아부하는 역적을 토벌하고 명성황후(明成皇后) 시해에 대하여 복수할 것을 주장한 것, 그리고 서구의 제국주의적 침략은 단호히 막아야 하지만 대내적으로 개물성무(開物成務)와 화민성속(化民成俗)을 이루어야 한다는 개화론(開化論)을 주장한 것은 이러한 시대적인 역사적 환경과 직접적으로 관계된다. 호산 박문호의 시국관은 전통적인 윤리사상과 교육사상을 고수하는 입장을 충분히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변화하는 새로운 시대적 요구를 외면한 것으로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새로운 시대적 요구라는 것도 시대적이며 사회적인 모든 여건의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이며, 전통 윤리사상을 고수한다고 하여 반드시 시대적 요구에 배치된다고 볼 수도 없다. 호산 박문호가 살다 간 시대는 왜양(倭洋)의 침략 앞에 정치적인 불안정은 극도에 달하였으며, 새로운 시대적 요구에 대한 국민적 또는 국가적 합의는 거의 이루어질 수 없는 상태에 있었다. 따라서 당시의 당면과제는, 우선 일본과 구미 각국 즉, 왜양(倭洋)의 침략을 물리치는 일보다 더 화급한 일은 없었던 것이며, 그리함으로써 정치적 안정과 사회적 안정을 도모하고 도탄에 빠진 민생을 구제하여 유가적 정치이상을 실현하는 것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