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Usage and Feature in Joseon Dynasty's Felt

조선시대 펠트(Felt) 사용범위와 특성

  • Min, Bo-Ra (Dept. of Clothing & Textiles,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
  • Hong, Na-Yo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 민보라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 홍나영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Published : 2008.10.31

Abstract

Since brought into from the economic life of nomads, the felt, the target of this study, has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of giving the functions of class symbol as well of protection against the cold and of ornamentation. Therefore, the study on how the felt was developed in Joseon Dynasty and how different culture from nomadic tribes it formed is significant in comprehensively under,;landing the economic, social and natural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Dynasty. The felt named "Jeon" has been constantly appearing in Korea from the ancient time, but it was not produced actively in the early part of Joseon Dynasty. That's why it was not a climatic condition suitable for sheep-breeding, and the government managed sheep-breeding but it aimed primarily at not producing clothing materials but having memorial ceremonies. Since sheep-breeding was not widely spreaded, production of Jeon was limited and some part was imported from China, so it was one of rare valuable goods. Therefore, the felt of wools named "Yangmojeon", the colored felt named "Chaejeon", etc. were used as liking items in the high-class society, and their materials and components were a little different depending on the official post. On the other hand, people in the low-class society used to wear the felt hats made of cattle feathers and miscellaneous fur, named "Jeonlip" and "Beougeoji". Since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use of the felt was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users and the function, along with successful spreading of cotton and development of market economy. The function of Jeon to protect against the cold was replaced by cotton, but the felt hats of Beongeoji, Jeonlip, etc. were worn by common people continuously. As seen above, it is considered that the felt culture in Joseon Dynasty was formed very differently from the nomadic culture, because of its historical and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and it had unique developing progress among all available fabrics.

Keywords

References

  1. 고려대학교박물관. (2008). 고려대학교박물관 명품도록. 서울: 그라픽네트
  2. 국립민속박물관. (2005). 한민족역사도감의 생활.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3. 국립중앙박물관. (2001). 조선시대 풍속화.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4. 광주시립민속박물관. (2000). 霞川 高雲 출토유물.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5. 김경선. (1832). 燕轅直指. 임기중 편 (2001). 燕行錄全集, 71. 서울 : 동국대학교출판부
  6. 김연옥. (1985). 한국의 기후와 문화.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7. 김종직. (1640). 畢齋集. 임정기 역. (1997).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8. 문화재관리국. (1987). 韓國의 甲胄. 서울 :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9. 문화재청. (2007). 한국의 초상화. 서울: 눌와
  10. 박사호. (1829). 心田稿. 임기중 편 (2001). 燕行錄全集, 86. 서울 : 동국대학교 출판부
  11. 박성훈. (2002). 한국 삼재도회. 서울: 시공사
  12. 박지원. (1780). 熱河日記. 이상호 역 (2004). 파주: 보리
  13. 변광석. (2001). 조선후기 시전상인 연구. 서울: 혜안
  14. 서유구. (1827). 林園十六誌. 민속원 편집부 엮음 (2005). 서울: 민속원
  15. 성현. (1493). 樂學軌範. 이혜구 역 (2001). 서울: 국립국악원
  16. 양성지, 이행. (1530). 新增東國輿地勝覽. 한국고전번역원. 자료검색일 2007, 12. 13, 자료출처 http://www.minchu.or.kr
  17. 오희문. (1539-1613). 瑣尾錄 . 이민수 역 (1990). 서울: 해주 오씨추탄공파종중
  18. 유승주, 이철성. (2002). 조선후기 중국과의 무역사. 서울: 경인문화사
  19. 유형원. (1670). 磻溪隨錄. 한장경 역 (1962). 대전: 충남대학교
  20. 이긍익. (조선). 燃藜室記述. 민족문화추진회 역 (1976).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21. 이덕무. (조선). 靑莊館全書. 민족문화추진회 역 (1978).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22. 이미식, 송미경. (2001). 조선시대 충정관의 보존처리. 박물관보존과학, 3, 29−36
  23. 이성시. (1999). 동아시아의 왕권과 교역. 서울: 청년사
  24. 이익. (조선후기). 星湖僿說 민족문화추진회 역 (1976).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25. 이재. (1844). 四禮便覽. 이수영 역 (1992). 서울: 이화문화출판사
  26. 이제신. (1629). 淸江先生鯸鯖瑣語 . 민족문화추진회 역 (1991). 大東野乘, 1.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27. 이해응. (1804). 山紀程. 임기중 역 (2001). 燕行錄全集, 66. 서울: 동국대학교 출판부
  28. 장숙환. (2003). 전통 남자 장신구. 서울: 대원사
  29. 정약용. (1819). 雅言覺非. 김종권 역 (1976). 서울: 일지사
  30. 정약용. (조선후기). 茶山詩文集. 민족문화추진회 역 (1994).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31. 조영식. (2006). 제품 기호학, 제품에 얽힌 기호 이야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32. 최남선. (1947). 朝鮮常識. 최상진 역 (2007). 서울: 두리미디어
  33. 최종남, 류근배, 박원규. (1992). 아한대 침엽수류 연륜연대기를 이용한 중부 산간지역의 고기후 복원. 한국제4기학회지, 6(1), 21−32
  34. 한국국제교류재단. (1997). 일본소장 한국문화재. 서울: 한국국제교류재단
  35. 홍만선. (조선). 山林經濟. 농촌진흥청 역 (2004). 수원: 농촌진흥청
  36. 貢弊.市弊. (조선후기). 강만길 역 (1985). 韓國商業史資料叢書, 2. 서울: 여강
  37. 田中千. (1998). 服飾事典. 東京: 同文書院
  38. 高麗史. (조선). 고전연구실 편 (2002). 서울: 신서원
  39. 農政書. (조선후기). 농촌진흥청 역 (2002). 수원: 농촌진흥청
  40. 萬機要覽. (1808). 민족문화추진회 역 (1972).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41. 武藝圖譜通志. (1790). 김위현 역 (1995). 서울: 민족문화사
  42. 三國史記. (1573). 고전연구실 역 (2000). 서울: 신서원
  43. 尙方定例. (1752).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자료실
  44. 承政院日記. (조선). 국사편찬위원회 역 (1977).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45. 日省錄. (1800). 민족문화추진회 역 (1998).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46. 增補文獻備考 (190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역 (1996). 서울:세종대왕기념사업회
  47. 太宗實錄. (1431). 국사편찬위원회 역 (1958). 서울: 국사편찬위원회
  48. 世宗實錄. (1473). 국사편찬위원회 역 (1958). 서울: 국사편찬위원회
  49. 文宗實錄. (1455).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역 (1977).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50. 成宗實錄. (1499).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역 (1995).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51. 燕山君日記. (1507). 민족문화추진회 역 (1972).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52. 中宗實錄. (1530). 민족문화추진회 역 (1989).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53. 宣祖實錄. (1616). 민족문화추진회 역 (1994).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54. 孝宗實錄. (1661). 민족문화추진회 역 (1994).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55. 英祖實錄. (1781).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역 (1994).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56. 正祖實錄. (1805). 민족문화추진회 역 (1995).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57. 獻宗實錄. (1851).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역 (1990).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58. Burkett, M. E. (1979). The art of the felt maker. Kendall: Abbot Hall Art Gallery
  59. Huntington, E. (1915). Civilization and climate. New Haven: Yale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