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for the Vitalizations of Marine Leisure Sports; Analyses on the recognitions for the Marine Leisure Sports and their Current State-of-the- Art

해양레저스포츠에 대한 인식과 이용실태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 Published : 2008.10.31

Abstract

The interest on the marine leisure sports is rapidly increasing with the advent of the five-day week and with increments of GNP. The self-governing bodies are trying to drag large investments into the marine leisures industry through international exhibitions and yacht rallies. Unfortunately, the demands in the domestic area don't increase differently from those demand patterns in the advanced countries. In this study, several suggestions for vitalizations on the marine leisure industry are made after surveying the recognition degree of the domestic people on the marine leisures and the current states of their spending on the marine leisures. As results, it has been shown that the policies based upon negative factors coming from negative understandings on the leisure activities should be largely revised. Further, it seems that the policies for the preparations of the laws and the regulations for the marine leisures as well as for the R&D policies should be taken systematically so that the infra structures are constructed while improving the negative understandings on the leisures. The fundamental databases investigated in this study will help the policy makers and the investors reduce the risks of the policy and the investments in the field of marine leisure sports.

주 5일 근무제가 확대되어 국민의 여가시간이 증가되고 소득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해양레저스포츠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자체들도 해양레저스포츠 관련 전시회, 국제요트대회 등을 개최하고 대규모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선진국의 수요패턴과 달리 수요가 크게 늘어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레저스포츠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과 사용자들의 이용실태를 통계적으로 조사 및 분석하고 저해요인을 고찰하여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해양레저스포츠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일반인들의 인식을 개선하면서 법과 제도를 정비하고 인프라를 구축하며 기술개발 등을 체계적으로 추진하는 정책과제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부의 관련 정책과 사업자들의 사업계획 수립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투자의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궁극적으로 해양레저스포츠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렬(2000), "한국 사회체육 발전방향 연구(해양레저스포츠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김경호(2002), "한국해양레저스포츠산업의 마케팅 전략",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김성귀(2007), "해양관광론, 현학사.
  4. 박승환(2004), "스포츠관광을 위한 해양레저스포츠 발전 전략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백승헌(2006), "해양스포츠관광 선택 속성에 따른 시장세분화 연구",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서희진(2004), "해양스포츠정책과 활성화 방안", 스포츠산업지 여름호.
  7. 성기만(2002), "국내 해양관광지 개발모형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수상레저안전협회(2004), "수상레저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9. 신종계(2008), "해양레저산업의 현황과 미래", 경기도.
  10. 엄서호, 서천범(2007), "레저산업론", 학현사.
  11. 이상호(2007), "해양레저스포츠 체험공간의 속성이 참가자의 감정적 반응, 만족, 재참가 의도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이재형(2003), "레저스포츠 관광 참여자의 라이프 스타일 및 참여동기가 몰입도와 소비문화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3. 정종석(2003), "해양레저스포츠 발전을 위한 한국형 마리나 개발방향에 관한연구",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조호경(2004), "해양스포츠와 정책방향(외국 사례비교)", 스포츠산업지 여름호
  15. 지삼업(1999), "한국해양스포츠 진흥을 위한 제도화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차상기(2006), "델파이기법을 활용한 해양 레저스포츠 발전과제", 목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채서일(2007), "연구조사방법론", B&M books.
  18. 한광민(2006), "대학생들의 해양스포츠에 관한 의식조사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황철상(2008), "해양레저스포츠 참여 촉진을 위한 시장 세분화 전략",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해수부(2005), "소형선박 등록제도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21. Michael, T. and Nicholas, S.(2002), "Compensating Variation for Recreational Policy : A Random Utility Approach to Boating", Florida.
  22. Richard, B. and Michael, T.(2005), "Contrasting local responses to globalization : the case of volume yacht manufacturing" Europe.

Cited by

  1. The Effects of Enjoyment Factors on Recreation Specialization of Water Sports Participants vol.28, pp.2, 2016, https://doi.org/10.13000/JFMSE.2016.28.2.356
  2. A Study on Problem and Improvements of Registration System in Water Leisure Crafts vol.17, pp.4, 2016, https://doi.org/10.5762/KAIS.2016.17.4.273
  3. Qualitative Inquiry on the Formation of Serious Leisure Experience for Water Sports Mania vol.27, pp.6, 2015, https://doi.org/10.13000/JFMSE.2015.27.6.1783
  4. The Relationships among of Sport Enjoyment,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Adherence Intention of Water Leisure Sports Participants in Busan vol.28, pp.5, 2016, https://doi.org/10.13000/JFMSE.2016.28.5.1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