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ried Women's Economic Dependency and the Welfare State

기혼여성의 경제적 의존과 복지국가

  • 김영미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 Received : 2008.01.22
  • Accepted : 2008.03.09
  • Published : 2008.03.30

Abstract

Research on the welfare state or income inequality has been concerned with variations in inequality between societies or families. These studies tend to view the family as a unit of shared interests where incomes are pooled and distributed equally. This study makes a theoretical and empirical case for why it is important to look at economic dependency within the family in comparative welfare state research. Using the Luxembourg Income Study data this study examined married women's dependency on their husbands' earnings in 16 western industrialized countries. The constructed measure for married women's level of economic dependency followed the procedure of Sørensen & McLanahan(1987), which stated : "her dependency is measured by the extent to which a woman's standard of living(as determined by her share of income) is derived from a transfer from her husband." The finding suggested that married women's economic dependence was lowest in Scandinavian countries. On the contrary, in Southern Europe countries most married women were dependent on husbands' earnings. In Netherlands, Austria, Germany where the share of part-time work among married women was high, married women's economic dependence was also high. This showed the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did not mean that the majority of couples were equal with respect to earnings, nor that a major shift in the sexual division of labour has taken place. This paper analys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married women's economic independence and the welfare state by using Ragin(2000)'s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This analysis considered the various conditions of the welfare state : namely, left power, union mobilization density, women's mobilization, public service sector employment and generous support on the family. The result showed that powerful union, high level of women's mobilization and the generous support on the family were necessary conditions for 'relatively high' level of married women's economic independence.

이 연구는 기혼여성의 경제적 의존 수준을 국가 비교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그동안 많은 복지국가 및 소득불평등 연구에서 간과해 온 가족 내(within a family) 불균등한 권력관계를 검토하였다. 기혼여성의 경제적 의존은 가구 내에서, 그리고 전체 사회 내에서 여성들이 열악한 지위에 놓여 있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가족 내 부부의 소득의 비중을 이용한 Sørensen & McLanahan(1987)의 의존 지수(Dependency Index)를 OECD 16개 국가에 대해 도출하였다. 분석 자료는 가구 내 남편과 부인 각각의 소득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룩셈부르크 소득조사(LIS) Wave V(2000년 전후 시점)이다. 이 지수는 노동시장 참여여부, 노동시간, 임금수준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다. 의존 지수는 배우자 중 한 명이 노동시장에 참여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한 모든 부부를 대상으로 했을 때와 맞벌이 부부만을 포함했을 때로 구분하여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부부를 대상으로 했을 때 의존 지수값은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이들 국가의 높은 경제활동 참가율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7세 미만 자녀가 있을 경우 기혼여성의 경제적 의존 상황은 더욱 악화되는데, 국가마다 상당한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맞벌이 부부를 대상으로 한 의존 지수값의 경우, 앞의 결과와 비교하여 대부분의 국가에서 의존 지수값이 작아졌고 국가 간 편차가 다소 줄어들었다. 여성 파트타임 고용률이 높은 국가들의 경우, 여전히 의존 수준이 높게 나타나 기혼여성의 노동시장 참여가 반드시 맞벌이 가구에서의 경제적 권력관계를 변화시키는 것은 아님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기혼여성의 경제적 독립수준이 높아지는데 필요한 정치 경제 제도적 조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Ragin(2000)의 퍼지셋 질적비교분석(FSQCA)방법을 사용하여 필요충분조건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강력한 노동운동의 영향력, 높은 수준의 공공 부문 고용창출, 관대한 가족지원 조건이 기혼여성의 경제적 독립성에 필요한 조건임이 검증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학술진흥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