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orpho-Climatic Characteristics of Stratified Slope Deposits in the Southwest Region of Haenam

해남 남서부지역의 Stratified Slope Deposit의 기후지형학적 특성

  • PARK, Chul-Woong (Geography Major, Faculty of Social science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박철웅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학부 지리전공)
  • Received : 2008.06.10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Stratified slope was formed on the SSE-facing slope in the southwest region of Haenam, South Korea. Field and laboratory investigations into the geomorphology and sedimentology of stratified slope deposit that is inactive. Outcrops of this deposit show an alteration of coarse debris-supported matrix and tiny debris-supported matrix layers. Sedimentological analysis(particle-size analysis) indicates that this deposit is not fluvial process or only gravitation like rock-fall. Many clasts and fine materials on the slope is supposed to be product by congelifraction under Pleistocene periglacial climatic environment. Also The processes responsible for the genesis of this deposit probably are to move downward by gelifluction and to remove fine materials by slope wash in thawing cycle and in situ debris congelifraction on gelifluction slope. Now It is impossible to account for the time range of genesis(diurnal, seasonal). In conclusion, this stratified slope formed in cold and humid periglacial environmental in pleistocene, therefore, this slope is a periglacial relic landform, indicates that in south korea there was a cold and humid paleo-climate such as periglacial environmen.

한반도 남서부 해남 어란지역 사면에는 현재의 유수작용이나 암석낙하와 같은 직접적인 중력작용만으로 형성되기 어려운 조립질과 세립질이 교호하는 사면퇴적물이 존재한다. 이런 사면은 현생 혹은 과거 주빙하 환경에서 자주 관찰되는 성층사면(stratified slope)으로 흔히 그레즈-리테와 stratified scree로 불려지는 것들이다. 본 사면에 대해서 지형학적 및 퇴적학적 특성의 분석과 기존 연구결과를 통해서 사면의 형성의 프로세스를 추정하였다. 특히 (1) 배후산지의 기반암은 Franco(1990)가 지적한 동결 수용성이 민감한 암석의 특성으로 동결파쇄(congelifraction)되어 다량의 암설과 미립질을 공급할 수 있었다. (2) 사면의 직선적 평활성과 암설의 크기와 량이 사면아래 방향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것은 중력작용을 유도하는 주빙하 환경에서 가능한 이동 메카니즘을 갖고 있다. (3) 조립질과 세립질의 교호는 현생 및 과거 주빙하 환경에서 잘 나타나는 stratified slope이다. 이상에서 연구지역의 사면퇴적물은 현재의 기후환경이 아닌 과거 플라이스토신의 한랭 습윤한 주빙하성 기후환경의 산물로 볼 수 있는 성층사면으로 주빙하 기후환경의 화석지형이다. 그 외 당시의 해수면 변동과 관련된 해안단구, 고사구 지형 등이 함께 나타나고 있어 한반도 남서부의 제4기 고기후 지형환경의 이해에 좋은 예가 되고 있어 더 많은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