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a moderating effect of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community elderly

노인의 심리사회적 특성이 우울감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Park, Bonggil (Dept. of Social welfare, Korea Christian University)
  • 박봉길 (그리스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08.08.31
  • Accepted : 2008.11.06
  • Published : 2008.11.30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explain how depression among community elderly relate to suicidal ideation and whether or not the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rsons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Seoul, Busan, and Daegu and included 273 persons 65 years and above who were using senior welfare centers in the communities. For the questionnaire and analysis, this research uses the Health Care, Life Event, Self-esteem, Family Assessment scales. This research utilizes a wide range of statistical analyses, such as descriptive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d general linear modeling. The calculations employed the use of SPSS/PC+ 12.0. This research indicates, among other things, that elderly persons with a high level of depression an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show a tendency toward higher suicidal ideation and that the level of self-esteem, life event, and family communication plays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community elderly. In conclusion, elderly persons who experienced with a high level of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shows a relatively greater tendency toward suicidal ideation when compared to elderly persons having a low level of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The intervention's effectiveness in reducing suicidal ideation can reinforce self-esteem, and cope with stressful life events and family discord as prevention strategy to reduce risk factors for suicide in late life.

본 연구는 노인의 우울감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를 밝히고, 노인의 심리사회적 특성이 이들 관계를 조절하여주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조사는 서울, 부산, 대구의 노인복지회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273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조사도구로는 건강문제, 생활사건, 자존감, 가족의사소통 척도 등이 사용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PC+ 1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피어슨의 상관관계, 신뢰도 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 일반선형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우울감과 심리사회적 특성의 수준이 높을수록 노인의 자살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심리사회적 특성의 하위요소 가운데 생활사건, 자존감, 가족의사소통과 노인의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노인이 경험한 심리사회적 특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심리사회적 특성의 하위요인들이 노인의 우울감과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살생각을 감소시키는 효과적인 개입방법으로써 자긍심을 강화하고, 스트레스적인 생활사건과 가족불화에 대처할 수 있는 예방 전략으로 노인자살에 대한 위험요인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그리스도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