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과학재단
This study aimed to measure the health literacy among Korean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and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literacy of the elderly. A descriptive correlational research design was used. The sample consisted of 411 elders who were conveniently selected from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us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from face-to-face interviews by trained interviewers between January, 7 and February, 4, in 2008. Health literacy was measured by Korean Health Literacy Scale developed by Lee(2008).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se the data. In result, the mean score of health literacy was 17.46(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 문해 수준과 이와 관련된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08년 1월 7일부터 2월 4일 까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60세 이상의 노인 411명을 편의 추출하였으며, 일대일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건강 문해 측정 도구는 이태화(2008)가 개발한 한국형 건강 문해 측정 도구를 이용하였다. 이 도구는 이해 및 수리 영역 14문항과 용어 영역 11문항의 총 25문항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자료 분석은 서술 통계, t-test, ANOVA, 문항 분석, 다중 회귀 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남자가 160명(39.0%), 여자 250명(61.0%)로 여자 대상자가 더 많았으며, 대상자의 건강 문해 도구의 평균 점수는 총 25점 만점을 기준으로 17.49(
Supported by : 한국과학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