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Medium and Small-sized Venture Firms' Liability of Foreignness on Business Performance - Comparison of Taiwanese and Korean Firms -

대만과 한국 중소벤처기업의 외국비용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Cho, Dae-Woo (Department of International Busines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조대우 (충남대학교 경상대학 경영학부 국제경영전공)
  • Received : 2008.11.10
  • Accepted : 2008.12.20
  • Published : 2008.12.30

Abstract

Medium and small-sized venture firms as well as multinational companies pay liabilities of foreignness. We defined these costs as three different factors which are liability of handicaps(deficit of time, money, experience and, increase of financial risk), overseas market entry costs(information gathering costs, network building costs, marketing costs, channelling costs, monitoring costs), internationalization preparing costs(forecasting and market research of local markets, ex-ante cooperation with local firms), and then empirically tested how each of these factors affects on their business performances. The more important both Taiwanese and Korean firms consider liability of handicaps, the more bigger they pay overseas market entry costs(H1). On the contrary, the more important they consider overseas entry costs, the more they focus on internationalization preparation(H4) and get the better business performances(H5). The more important Korean firms consider liability of handicaps, the bigger they focus on internationalization preparation, on the contrary, the less Taiwanese firms do this(H2). Taiwanese firms as well as Korean firms rejected Hypothesis 3 and 6 which mean both liability of handicaps and internationalization preparation are no relation with their own business performances.

중소벤처기업도 대기업인 다국적기업과 마찬가지로 해외진출시에는 비용이 수반된다. 이러한 외국비용을 해외진출시 당면하는 시간부족, 자금부족, 경험부족, 재무위험증가 등 장애요인과 정보획득비용, 네트워크구축비용, 마케팅비용, 유통비용, 모니터링비용 등 해외진출비용요인, 그리고 현지시장 예측과 조사, 현지기업과의 사전적 공조 등 국제화준비활동으로 정의하고, 이들 요인간 관계와 이들 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대만과 한국기업 모두 장애요인이 중요하다고 지각할수록 해외진출비용이 크다고 지각하였다(H1). 그러나 가설과는 반대로 해외진출비용을 중요시할수록 국제화준비활동에 더욱 집중하였으며(H4), 경영성과의 향상에도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H5). 한국기업은 장애요인이 중요할수록 국제화준비활동에 박차를 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대만기업은 정반대로 장애요인이 중요하면 국제화준비활동에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H2). 또한 대만과 한국기업 모두 해외진출장애요인과 국제화준비활동요인 모두 경영성과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H3, H6).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학술진흥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