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광산주변 토양의 환경영향해석을 위한 수학적 접근

Mathematical Approach for Environmental Impact Analysis of Soils from Abandoned Mines

  • Kim, Kwang-Ta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ang, Mee-A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Andong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8.09.30

초록

폐광산 인근의 토양과 광미에서 발생하는 오염원은 중금속과 강산성의 배수가 주요한 원인물질이다. 이러한 오염원들은 인근의 토양까지 오염이 확산되어 결국 사람에게 건강상 유해성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중금속 오염이 심각한 폐광산을 대상으로 이들의 관리를 최적화하기 위해 요구되는 중금속 오염수준예측을 위한 수학적 접근방법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폐광산으로부터의 거리와, pH 및 산화환원전위(ORP)의 경시변화를 조사하여 이들의 상관성을 방정식으로 도출하였다. 대상으로 한 폐광산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보였으나, 60일간의 실험기간동안 변화되는 pH와 ORP는 초기의 pH와 ORP를 기준으로 할 때, 변화율이 $0.95{\sim}1.03$의 범위로 나타났다. 이것은 초기의 pH와 ORP를 기초로 폐광산 인근의 토양에서 발생하는 중금속류의 용출정도를 예측하여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이러한 접근방법은 다른 폐광산에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제거 또는 제어 대상인 중금속류의 관리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main reason of the pollution caused by soils and tailings located at discussed mines is heavy metals and AMD(acid mine drainage). Human health is affected by these pollutants which are spreaded from the abandoned mines. In this study, we try a mathematical approach to predict the pollution level of heavy metals caused by the surrounding soils of abandoned mines. The new approach is established wit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stance and pH, ORP. The change of pH and ORP can be described by the rate of initial values to experimental values. We demonstrate a realistic possibility of the mathematical approach to assess an environmental impact from disused mines cause the rate range is 0.95 to 1.03 for 60 days. Therefore our proposed approach will be useful as a few promising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heavy metals in many min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미아, 2007, 산성광산배수로 인한 환경오염도 조사, 대한지질공학회지, 17(1), pp. 143-150
  2. 강미아, 김광태, 2007, 토양 및 광미의 용출실험을 이용한 폐광산오염수준의 모니터링, 대한지질공학회지, 17(3), pp. 419-424
  3. 김종욱, 문희수, 송윤구, 유장한, 1999, 구봉광산 일대 광미, 하상퇴적물 및 주변토양에서의 중금속원소의 존재 형태, 자원환경지질, 32(3), pp. 261-271
  4. 정명채, 2004, Successive Alkalinity Producing System (SAPA)을 이용한 폐석탄광의 산 성광산배수 처리, 대한환경공학회지, 26(11), pp. 1204-1210
  5. Eger, P., Wagner, J., Kassa, Z. and Melchert, G., 1994, Metal removal in wetland treatment system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Land Reclamation and Mine Drainage Conference/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Abatement of Acidic Drainage, Pittsburgh, PA, pp. 80-88
  6. Filipek, L.H., Hatton, C., Gusek, J. and Tsukamoto, T., 2003, Passive treatment of acid rock drainage (ARD): state of the practice, Proceedings of the T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ailings and Mine Waste, Colorado, U.S.A., pp. 293-303
  7. Fiset, J.F., Zinck, J.M. and Nkinamubanzi, P.C., 2003, Chemical stabilization of metal hydroxide sludge, Proceeding of the X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ailings and Mine Waste, Vail, CO, U.S.A., AA Balkema, pp. 329-332
  8. Kang M. A., Kawasaki Mutsuo, Tamada Synya, Kamei Tasuku and Magara Yasumoto, 2000, Desalination, 131(1-3), pp. 293-298 https://doi.org/10.1016/S0011-9164(00)90027-4
  9. Kevina B. Hallberg, D. and Barrie Johnson, 2005, Microbiology of a wetland ecosystem constructed to remediate mine drainage from a heavy metal mine, Science of Total Environment 338, pp. 53-66 https://doi.org/10.1016/j.scitotenv.2004.09.005
  10. Yuko Sato, Meea Kang, Tasuku Kamei, Yasumoto Magara, 2002, Performance of nanofiltration for arsenic removal, Water Research 36, pp. 3371-3377 https://doi.org/10.1016/S0043-1354(02)000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