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 및 논문분석을 이용한 연구생산성 분석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nalysis Methods on R&D Productivity Using Patent and Paper Analysis

  • 신승후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UST 기술경영정책) ;
  • 현병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UST 기술경영정책)
  • 발행 : 2008.09.30

초록

현대 시대의 R&D 환경은 점점 더 복잡한 양상을 보이고 있고 양적으로도 급속히 증가 추세에 있으며 기술경쟁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급변하는 연구개발 현장에서 연구생산성 향상을 위한 필요성을 되새기고 질 높은 연구생산성 도출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특허분석과 논문분석이라는 두 기법을 활용하여 연구생산성 분석을 진행해 보았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한국은 아직까지 미국, 일본 둥의 선진 국가들에 비해 연구생산성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정부출연기관들은 해외 우수 기관과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연구생산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우수 기업연구소들의 경우 출연기관보다는 비교적 우수한 연구생산성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특허 및 논문 사례 분석을 통해 연구생산성의 현주소를 분석하는 것은 경쟁력 확보에 방해되는 요인을 파악하고 미래의 R&D 연구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어떤 부분에 초점을 두고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Global R&D environment is entering on more complicated aspect gradually and tends to increase sharply in a quantitative manner. Technology competition is getting higher. This study intends to raise recognition of a necessity of productivity in a rapidly-changing R&D field and to suggest alternatives for improving its research productivity. For it, the research productivity was analyzed by utilizing two processes of patent analysis and paper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it can be confirmed that Korea has the low research productivity compared to advanced countries such as USA and Japan.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 showed the relatively low research productivity, compared to foreign research institutes. It is confirmed that the company research institute has better research productivity than the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 Analyzing the present situation of research productivity through such the patent and paper analysis, seems to contribute to suggest how the research must be done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 of hampering the competitiveness acquisition and to improve the future R&D productivit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