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Earth Science Vocabularies Used in the 10th Grade Science Textbooks

10학년 과학 교과서 지구과학 용어 분석

  • Choi, Haeng-Im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Hyon-Yong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ho, Hyun-Jun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최행임 (경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지구과학교육) ;
  • 이효녕 (경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지구과학교육) ;
  • 조현준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Published : 2008.08.30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level of Earth science vocabularies in the 10th grade textbooks with the Science Word Analysis (SWA) program and to investigate the vocabularies selected by the 10th grade students as difficult ones. For this purpose, we extracted the Earth science vocabularies from eleven textbooks, and classified into scientific and non-scientific vocabularies with the SWA program based on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difficulty of each vocabulary by surveying five hundred sixty students with a questionnaire. Results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the scientific vocabularies that were beyond the designated level was the largest among any other levels in all textbooks. Most of the vocabularies selected by students as difficult ones to understand were classified into out of the level. From these results, it were suggested that the students' cognitive level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science textbooks and difficult vocabularies should be replaced with easy ones without a change of meaning.

이 연구의 목적은 10학년 과학 교과서의 지구과학 용어들을 SWA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그 중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용어들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위해, 먼저 11종의 10학년 과학교과서에서 지구과학 용어들을 추출한 다음, 표준국어대사전을 기반으로 한 SWA 프로그램으로 과학 전문어와 비과학 전문어로 분류를 하였다. 분류된 과학전문어와 비과학 전문어에 대해 560명의 10학년 학생들에게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프로그램을 통해 어휘의 수를 분석한 결과, 교과서별로 다소 차이는 있지만, 등급 외의 과학 전문어 빈도가 모든 교과서에서 다른 등급에 비해 가장 높았다. 또한 학생들에게 설문한 결과, 어렵다고 하는 용어들의 대부분이 등급 외에 속해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교과서 집필 과정에서 학생들의 인지 수준을 고려해야 하며 어려운 용어는 과학적 의미의 변화가 없는 범위 내에서 쉬운 용어로 대체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1998, 초등학교 교육과정해설 IV -수학, 과학, 실과-. 교육부, 서울, 197 p
  2. 교육부, 1999, 중학교 교육과정해설 III -수학, 과학, 기술, 가정-. 교육부, 서울, 254 p
  3. 교육부, 2000,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과학-. 교육부, 서울, 244 p
  4. 김광해, 2003, 등급별 국어교육용 어휘. 박이정, 서울, 386 p
  5. 김정애, 노석구, 2003, 제 7차 과학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 1028-1038
  6. 류연수, 김웅현, 백경선, 오종열, 정선숙, 한춘희, 함정식, 2002, 제 7차 교육과정에 의거한 초등학교 교과용 도서 의 현장 타당성 분석.평가 연구. 연구보고서(한국교과 서연구재단) 02-4, 213 p
  7. 박영순, 2003, 한국어 교재의 개발 현황과 발전 방향. 한국어 교육, 14, 169-188
  8. 백성혜, 박재원, 박진옥, 임명혁, 고영미, 조부경, 김효남, 2002, 물의 상태, 상태변화 및 그 조건에 대한 유치원, 초등, 중등 과학 교재의 내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 215-229
  9. 오강호, 고영구, 윤석태, 2004,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과학 과의 해양영역에 관련된 용어 및 탐구의 연계성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5, 576-585
  10. 오대섭, 이선행, 이임숙, 김애란, 1990, 연상을 통한 과학용 어의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 67-72
  11. 오흥기, 남경식, 이성묵, 2006,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이 과 학 용어에서 겪는 어려움. 제 50차 한국과학교육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p. 159
  12. 윤석태, 이숙, 고영구, 2002, 지구과학 교과에 사용된 한자 기반 용어의 이해도. 전남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6, 53-68
  13. 이상현, 최규상, 2000, 중학교 과학교과서에 나타난 물리용 어에 대한 선호도 및 이해도 조사. 새물리, 41, 279- 286
  14. 정진우, 우종옥, 김찬종, 임청환, 이연우, 소원주, 정남식, 이경훈, 이항로, 홍성일, 윤선진, 정철, 박진홍, 2001, 지구과학교육론. 교육과학사, 서울, 422 p
  15. 정진우, 정재구, 박희무, 2004, 한자로 된 지구과학 용어에 대한 고등학생의 이해 수준. 한국지구과학회지, 25, 303-314
  16. 정진우, 조현준, 박숙희, 2007, 중학생들의 학습 양식과 과 학에 대한 태도에 따른 한자기반 지구과학용어에 대한 이해. 한국지구과학회지, 28, 24-34 https://doi.org/10.5467/JKESS.2007.28.1.024
  17. 조영삼, 2004, 고등학교 지구과학 I '살아있는 지구-지각변 동' 단원의 용어 비교 분석.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p
  18. 한국지구과학회 편저, 2003, 지구과학 학술용어집. 시그마 프레스, 서울, 405 p
  19. 홍종민, 정영근, 2006, 북한 중등과정 지리 교과서 기상학 분야 용어에 대한 전남지역 고등학생들의 이해. 한국지구과학회지, 27, 15-19
  20. Angus, C.H., 2004, Is textbook obsolete in new education? A critical analysis on the value of textbook in an inquiry curriculum,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new Primary General Studies Curriculum in Hong Kong. ERIC #ED 490 764
  21. Ault, C.A.Jr., 1998, Criteria of excellence for geological inquiry: The necessity of ambiguit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 189-212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802)35:2<189::AID-TEA8>3.0.CO;2-O
  22. Cho, H., Kable, J.B., and Nordland, F.H., 1985, An investigation of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as sources of misconceptions and difficulties and some suggestions for teaching genetics. Science Education, 69, 707-719 https://doi.org/10.1002/sce.3730690512
  23. Duschl, R.A. and Smith, M.J., 2001, Earth science. Subject- Specific Instructional Methods and Activities, 8, 267-288
  24. Grant, N., 1987, Making the most of your text textbook. Longman, NY, USA, 128 p
  25. Mayer, V.J., 남정희, 이효녕, 2007, 통합과학의 이해: 지구 시스템적 접근. 자유아카데미, 서울, 268 p
  26. Merzyn, G., 1987, The language of school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9, 483-489 https://doi.org/10.1080/0950069870090406
  27. Trend, R., 1998, An investigation into understanding of geological time among 10 and 11 year old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 973-988 https://doi.org/10.1080/0950069980200805
  28. Trend, R., 2001, Deep time framework: A preliminary study of U.K. primary teachers' conceptions of geological time and perceptions of geo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 191-221 https://doi.org/10.1002/1098-2736(200102)38:2<191::AID-TEA1003>3.0.CO;2-C
  29. 강만식, 정창희, 이원식, 한인섭, 권숙일, 이민호, 박수인, 윤용, 이강석, 이태욱, 정규효, 양영주, 2002, 고등학교 과학. 교학사
  30. 정완호, 권재술, 김대수, 김범기, 신영준, 우종옥, 이길재, 정진우, 최병순, 황원기, 2001, 고등학교 과학. 교학사
  31. 이문원, 전성용, 최병수, 권석민, 노태희, 허성일, 김출배, 강석진, 박희송, 김경호, 김규상, 채광표, 김진만, 정대영, 2001, 고등학교 과학. 금성 출판사
  32. 이규석, 조희형, 박봉상, 박문수, 심국석, 심중섭, 최진복, 장정찬, 이창진, 이용준, 2001, 고등학교 과학. 대한교과 서
  33. 김찬종, 서만석, 김희백, 심재호, 현종오, 한인옥, 권성기, 박성식, 2001, 고등학교 과학. 도서출판 디딤돌
  34. 성민웅, 김봉곤, 조성동, 강대훈, 강충호, 구자옥, 노일환, 이용철, 임태훈, 최범선, 한은택, 2001, 고등학교 과학. 문원각
  35. 이연우, 강석본, 김인석, 김성진, 이진우, 안종제, 배미정, 전화영, 2001, 고등학교 과학. 이젠
  36. 우규환, 이춘우, 오두환, 김영유, 경재복, 이경훈, 박태윤, 이영직, 백수관, 김병인, 김봉래, 이기영, 2000, 고등학 교 과학. 중앙교육 진흥 연구소
  37. 이면우, 장병기, 고재덕, 윤상학, 이진승, 여상인, 김홍석, 임채성, 배진호, 백승용, 이성진, 최변각, 2002, 고등학 교 과학. 지학사
  38. 차동우, 김희수, 이명석, 이현주, 최종한, 이복영, 옥준석, 윤세진, 이원경, 정남식, 신동원, 2002, 고등학교 과학, 천재교육
  39. 송호봉, 정용순, 유병선, 이윤상, 김여상, 정태연, 이하원, 윤덕열, 2002, 고등학교 과학. 홍진 P&M

Cited by

  1. The Types of Interlanguag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Process of Learning Diastrophism vol.33, pp.1, 2012, https://doi.org/10.5467/JKESS.2012.33.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