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shoes with curved out-sole on the posture variation and its control strategy. At first, Target shoes(s) was made by evaluating the static postures of 7-female university students via 'New York State Posture Test' on shoes which made the relative angle between foot surface and ground surface of shoe change. At second, we evaluated muscle activity for 30-female university students(10 persons-3 groups) on shoes which were s(target), m shoes with curved out-sole and n shoes with flat out-sole. 1. The posture scores on New York State Posture Test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relative angle changes, and the best angle for score was -7 degree but, the scores charts were like two humped camel at -2, -7degree. we made the shoe with -7 degree and curved out-sole. 2. s, m shoes with curved out-sole had graded muscle activities but, static posture on bare foot, there were the graded activity on gastrocnemius for s shoes and tibialis anterior for m shoes, but on shoes, only Gastrocnemius for s shoe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선형 신발바닥면을 가진 신발의 착용이 자세의 변화 및 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먼저 30명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신발의 족저면과 접지면의 상대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New York State Posture Test'로 평가하여 최적의 각도의 신발(s)을 제작한 후 여대생 10명씩 3개 집단에 대해 각각 제작된 신발(s)과 유선형 신발(m), 일반신발(n)의 8주착용 전 후의 전경골근, 비복근의 근활성도를 평가하였다. 1. 'New York State Posture Test'에서의 자세평가점수는 신발의 각도변화에 따라 $-2^{\circ}$, $-7^{\circ}$에서 쌍봉형을 이루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7^{\circ}$에서 가장 좋은 평가점수가 나왔으므로 이 각도로 신발을 제작하였다. 2. 유선형의 아웃솔을 가진 s, m 신발의 활성패턴을 보면 맨발에서 s신발 착용자의 경우 비복근, m신발 착용자는 전경골근의 활성도가 증가하였으며,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는 s신발에서만 비복근의 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