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고교여자역도 선수들의 용상동작 수행 시 체급별 무게증가에 따른 EMG변화 비교 분석

A Comparison Analysis of EMG according to Weight Class and Increase Record of Clean and Jerk Techniques Weightlifting in High School Female Weight Lifters

  • 발행 : 2008.06.30

초록

본 연구는 고교여자역도 선수들의 용상동작에서 무게증가에 따른 근전도의 변화를 분석하여 체급별(69kg급, 58kg급)로 나타나는 근 발현양상을 비교하였다. 주동근은 대퇴이두근, 승모근, 척추기립근, 광배근, 비복근, 외측광근 등 6개의 근육을 선정하였으며, 용상동작을 6구간으로 나누어 근전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체급별 차이에서 58kg급에서는 모근 근육군과 동작구간에서 무게가 올라갈수록 근육의 발현이 단계적으로 올라가는 양상을 보였다. 체급에 따른 EMG 신호크기에서는 각 근육군마다 그 크기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 EMG 신호크기가 체급과 무게에 따라 증가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로 볼 때 69kg급에서 무게에 따른 근발현이 일관성 없이 나타나는 것으로 미루어 높은 체급일수록 근력과 함께 기술적인 요인도 고려되어야 경기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of muscles in clean and jerk techniques between 69kg class(n=3), 58kg class(n=3) in high school female weight lifters using EMG(electromyographic) system. EMG analysis were executed on 6 major muscles and dividing clean and jerk techniques into 6 phases. In that result, in the difference by weight, it was shown that EMG value increased gradually as the weight is raised of all muscles group & phases in 58kg class. In EMG signal scale by classes, it was shown that EMG signal scale didn't increase according to class & weight. In the result of this study, that EMG value was inconsistent in 69kg class is showing that the consideration of the technical factor together with muscle power has positive affect more on the performance improvement in the heavy clas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용재 (1998). 남.여 역도선수의 인상.용상동작에 관한 생체역학적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문영진 (2005). 역도인상기록 향상을 위한 근력강화프로그램개발.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3. 문영진, 이순호, 임비오 (2006). 역도 인상동작 수행 시바벨 증가에 따른 EMG 경향성에 대한 연구. 한국운동역학회지. 16(4):1-12.
  4. 박일봉 (2007). 고교야구 투수의 투구 수 증가에 따른 EMG의 변화. 대한스포츠의학회지. 25(2):215-222.
  5. 박일봉, 김정태 (2007). 탄성저항 및 필라테스 운동이 야구투수의 근전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지. 17(4):127-139. https://doi.org/10.5103/KJSB.2007.17.4.127
  6. 안광운 (2004). 여자역도 우수선수와 비우수선수간 용상동작의 주동근 활동 양상 비교 분석. 충주대학교 논문집. 39(2):353-369
  7. 소재무 (1992). 역도 인상동작에 관한 생체역학적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31(1):1249-1259.
  8. 신동철 (1993). 역도경기 용상 동작의 운동학적 연구. 한국체육과학연구원 1급 경기지도자연수원. 1급경기지도자 수료논문.
  9. Baumann, W., Gross, V., Galbierz, Q. P., & Schwizz, A. (1988). The snatch technique of world class weightlifters at the 1985 world championships,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4:68-89.
  10. Pieta, L. & Spitz, L. (1978). Biomechanical analysis of lympic weightlifting. In : F. Landry & W. Orban(eds). Biomechanics of Sport & Kinanthropometry, 169-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