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3, 4차 하천에서의 GIUH 유도식과 간략식에 의해 산정된 순간단위도의 비교연구

Comparison of IUHs obtained by the Derived and Simple Equation of GIUH on Third and Fourth-Order Streams

  • 주진걸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사회환경공학과) ;
  • 함대헌 ((주)웹솔루스 시스템사업부) ;
  • 전환돈 (한밭대학교 토목시스템공학부) ;
  • 이정호 (고려대학교 부설 방재과학기술연구센터) ;
  • 김중훈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사회환경공학과)
  • Joo, Jin-Gul (Dept. of Civil, Environmental and Architectural Engrg., Korea Univ.) ;
  • Ham, Dae-Heon (System Development Dept., Websolus, Co., LTD) ;
  • Jun, Hwan-Don (Dept. of Civil, Environmental and Urban Engrg., Hanbat National Univ.) ;
  • Lee, Jung-Ho (Research Center for Disaster Prevention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Univ.) ;
  • Kim, Joong-Hoon (Dept. of Civil, Environmental and Architectural Engrg., Korea Univ.)
  • 발행 : 2008.11.30

초록

GIUH 유도식 대신 삼각형 가정의 간략식이 많은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다양한 지형매개변수를 가진 유역에서 GIUH 간략식의 적용성에 대해서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지도의 해상도를 변화시켜 방림, 상안미, 무성, 병천 등 4개 소유역을 각각 3차와 4차 하천유역으로 나타내고, GIUH 유도식과 간략식을 사용하여 각 유역의 순간단위도를 산정하였다. 각각의 순간단위도에 $8{\sim}16$개의 호우사상을 적용하여 유출수문곡선을 계산하였으며, 이를 관측 유량과 비교하였다. 대상유역들을 3차 하천유역으로 가정하였을 경우, 유도식은 첨두유량을 관측값보다 작게, 간략식은 크게 산정하는 경향이 있었다. 대상유역들을 4차 하천유역으로 가정하였을 경우, 유도식은 관측값을 가장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략식은 관측값보다 크게 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략식은 유역에 따라 관측값에 대한 정확성의 편차가 크게 나타난 반면, 유도식은 편차가 작고 안정적인 결과를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계측 유역에서 순간단위도를 산정할 때는 간략식보다는 유도식을 사용하는 것이 모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simple equation of GIUH are frequently used in many researches instead of the derived equation of GIUH. However it is still unknown whether the simple equation of GIUH is adaptable for estimating IUHs for basins with various geomorphologic conditions.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the simple equation of GIUH, in this research, four basins which were Bangrim, Sanganmi, Museong, and Byeongcheon were selected and each basin was assumed as the third and fourth stream order basin according to variable resolutions. After than, IUHs were estimated using the derived and simple equations of GIUH. Eight to sixteen hydrographs were estimated from the each IUH, compared with observed graphs. In case of that the basin is assumed as a third order stream, the derived equation underestimated the peak flows while the simple equation overestimated them. When the basin is assumed as a fourth order stream, the simple equation generally overestimated the peak flows whereas the derived equation produced peak flows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peak flow. Moreover, the simple equation showed various deviations in accuracy whereas the derived equation produced stable results. Based on the fact found from this research,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derived equation of GIUH brings better results than the simple equation of GIUH to estimate IUHs for ungauged basin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남원 (1998). 미계측 유역의 확률홍수량 추정을 위한 동역학적 홍수빈도모형개발. 박사학위 논문, 강원대학교, pp. 118-121
  2. 김상단, 유철상, 윤용남 (2000). “지형형태학적 순간 단위도의 특성속도에 대한 고찰.”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3권, 제3호, pp. 315-330
  3. 김주철, 윤여진, 김재한 (2005). “Nash 모형의 지체시간을 이용한 GIUH 유도.”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8권, 제10호, pp. 801-810 https://doi.org/10.3741/JKWRA.2005.38.10.801
  4. 김진훈, 배덕효 (2006). “한강유역 한계유출량 산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2호, pp. 151-160 https://doi.org/10.3741/JKWRA.2006.39.2.151
  5. 김태균 (1987). 지형태학적 순간단위도 이론을 이용한 하천유역의 강우 유출 해석.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6. 문장원, 유철상, 김중훈 (2001). “동역학적 홍수빈도 모형의 적용 및 해상도 영향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4권, 제1호, pp. 81-90
  7. 조홍재, 이상배 (1990). “수문응답의 지형학적 합성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0권, 제1호, pp. 99-108
  8. 최현, 김부길, 이지형, 강인준 (2004). “원격탐사자료를 활용한 지형학적 순간단위유량도 작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4권, 제2B호, pp. 111-122
  9. 허창환, 이순탁 (2002). “하천유역에서 GIS를 이용한 GIUH 모형의 해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권, 제3호, pp. 321-330
  10. 한국수자원관리 종합정보 홈페이지 (http://www.wamis.go.kr)
  11. 함대헌, 주진걸, 전환돈, 김중훈 (2008). “4차 하천에서의 GIUH의 유도 및 초기확률의 보정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2호, pp. 229-239 https://doi.org/10.3741/JKWRA.2008.41.2.229
  12. Bhaskar, N. R., Parida, B. P., and Nayak, A. K.. (1997). “Flood estimation for ungaged catchments using the GIUH.”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ASCE, Vol. 123, No. 4, pp. 228-238 https://doi.org/10.1061/(ASCE)0733-9496(1997)123:4(228)
  13. Franchini, M., and O'Connell, P. E., (1996). “An analysis of the dynamic component of the geomorphologic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Journal of hydrology, Vol. 175 No. 1-4, pp. 407-428 https://doi.org/10.1016/S0022-1694(96)80018-7
  14. Jain, S. K., Singh, R. D., and Seith, S. M. (2000). “Design flood estimation using GIS supported GIUH approach.”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 14, No. 5, pp. 369-376 https://doi.org/10.1023/A:1011147623014
  15. Karvonen, T., Koivusalo, H., Jauhiainen, M.Palko, J., and Weppling, K. (1999). “A hydrological model for predicting runoff from different land-use areas.” Journal of hydrology, Vol. 217 No. 3-4, pp. 253-265 https://doi.org/10.1016/S0022-1694(98)00280-7
  16. Rodriguez-Iturbe, I., and Valdes, J. (1979). “The Geomorphologic Structure of Hydrologic Response.”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5, No. 6, pp. 1409-1420 https://doi.org/10.1029/WR015i006p01409
  17. Sahoo, B., Chatterjee, C., Raghuwanshi, N. S., Singh, R., and Kumar, R..(2006). “Flood estimation by GIUH based Clark and Nash models.”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ASCE, Vol. 11, No. 6, pp. 515-525 https://doi.org/10.1061/(ASCE)1084-0699(2006)11:6(515)
  18. Snell, J. D., and Sivapalan, M. (1994). “On geomorphological dispersion in natural catchments and the geomorphological unit hydrograph.”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0, No. 7, pp. 2311-2323 https://doi.org/10.1029/94WR00537
  19. Sorman, A. U. (1995). “Estimation of peak discharge using GIUH model in Saudi Arabia.”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ASCE, Vol. 121, No. 4, pp. 287-293 https://doi.org/10.1061/(ASCE)0733-9496(1995)121:4(287)

피인용 문헌

  1. The Study of the Fitness on Estimation of the Flood Warning Rainfall Using UMcIUH in a Urban Area vol.14, pp.6, 2014, https://doi.org/10.9798/KOSHAM.2014.14.6.91
  2. Flood Estimation and Evaluation of Efficiency of Sewer Networks Using Geomorphological Analysis vol.18, pp.7, 2018, https://doi.org/10.9798/KOSHAM.2018.18.7.569